논문 상세보기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ctivities Daily Living, Instruments Activities Daily Living, and Social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Ho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6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 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213 명으로, 평균연령은 71.38±5.59세 이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제변수간의 차이, 영양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연결망(가족간지 지, 친구간지지, 상호 의존적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의 독립변수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삶의 만족도는 교육(F=5.280, p=.002), 경제상태(F= 22.407, p<.001), 월수입(F=3.181, p=.015), 주관적 건강상태(F=14.93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독립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가족간 지지(r=268, p<.001), 친구간 지지(r=.286, p<.001)에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고, 영양상태(r=-.222, p=.001),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3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지지(r=-.283, p<.001)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은 경제적 상태(β=.358,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24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β=-.158, p=.009),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β=-.153, p=.012)으로 30.1%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23.778,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노인을 위한 재정적 지지, 노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을 활성화하는 구체 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K-ADL, K-IADL, and social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home. Total 213 research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average age was 71.38±5.59. As the methods of analysis, using the SPSS 21.0,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n verified the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of nutritional status, K-ADL, K-IADL, social network(family networks, friends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home,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life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ducation(F=5.280, p=.002), economic condition(F=22.407, p<.001), monthly income(F=3.181, p=.01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F=14.933, p<.001).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the life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family networks(r=268, p<.001) and friends networks(r=.286, p<.001) while the nutritional status(r=-.222, p=.001), K-IADL(r=-.235, p=.001), and interdependent social support(r=-.283, p<.001)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predictive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home included the economic condition(β=.358,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β=.245, p<.001), interdependent social support(β=-.158, p=.009), and K-IADL(β=-.153, p=.01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0.1%.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23.778, p<.001).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ould maintain and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and also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the elderly suffering from economic hardship,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home. Moreover, there should be the concrete measures for vitalizing the community-connected activities for interdependent social support.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목적
    2.2. 연구 설계
    2.3. 연구 대상
    2.4. 연구 도구
    2.5. 자료 수집 방법
    2.6. 자료분석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연구결과
4. 논 의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양경미(중부대학교 간호학과) | Kyoung Mi Yang (Department of Nursing,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