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출 딸기 ‘매향’의 일중 수확시기와 예냉 및 저장 온도에 따른 상품성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Marketability of Strawberry ‘Maehyang’ for Export as Affected by Harvest Time of the Day and Temperature of Precooling and Stor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7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5월 일중 수확시기, 예냉 유·무, 예냉 및 저장 온도가 수출 딸기 ‘매향’의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과피의 착색이 60±5%로 진행된 딸기를 오전 07:00시와 오후 15:00시에 각각 수확하였다. 수확 수 일부 딸기는 예냉고에서 품온을 0, 2, 4°C로 각각 3시간 동안 예냉처리하였으며, 일부는 상온에 보관하였다. 이후 딸기는 처리별로 저장온도 4, 8, 10°C로 설정된 저온저장고에 저온 저장하였다. 저장고에 14일간 저장하면서 딸기의 무게 손실률, 경도, 당도, 색도, 잿빛곰팡이 발생률을 이틀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오전 07:00시와 오후 15:00시 수확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확 시 무게에 비해 무게 손실률이 증가하였으며, 오전 07:00시 수확에 비해 오후 15:00시 수확에서 처리에 따른 무게 손실률 차이가 컸다. 경도는 오전 07:00시와 오후 15:00시 수확 각각 6일째와 8일째까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후 15:00시 수확 시 예냉하지 않은 10°C 저장 처리는 저장 후 2일째에 과실의 경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당도는 오전 07:00시와 오후 15:00시 수확에서 예냉처리하고 낮은 저장온도 처리에서 저장일수 경과함에 따라 높은 수치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는 일중 수확시기 및 예냉 유·무에 관계없이 낮은 저장온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은 유의적으로 높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은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잿빛곰팡이 발생률은 오전 07:00시 수확에 비해 오후 15:00시 수확 시 발생률이 높았으며, 공통적으로 예냉을 한 후 10°C에 저장한 처리에서 잿빛곰팡이 발생률이 현저히 높았다. 본 연구에서 07:00시에 수확하여 0°C 예냉 후 4°C에 저장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저장성을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온도가 낮은 오전에 수확을 하고 낮은 온도에 예냉과 저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f the day, precooling or not, and temperature of precooling and storage on the marketability in strawberries ‘Maehyang’ for export in May. Strawberry colored with 60±5% of the skin was harvested at 07:00 am or 15:00 pm, respectively. After harvesting, some strawberries were precooled to 0, 2, 4°C for 3 hours in the cold store, respectively, and the others were kept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strawberries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 in the cold store set at 4, 8 or 10°C storage temperatures. The weight loss rate,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color, incidence of gray mold of strawberries were measured at two days intervals during storage for 14 days. Both 07:00 am and 15:00 pm harvest, fruits as the storage periods lapses increased weight loss rate compared to the weight at harvest time of the day, and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loss rate of fruits depending on the treatment was greater at 15:00 pm harvest than at 07:00 am. Firmness tended to increase again after 8th day at 07:00 am or 15:00 pm harvest, respectively. In the afternoon harvest, 10°C storage without precooling showed the lowest fruit firmness on the 2nd day after storage. The soluble solids content at 07:00 am or 15:00 pm harvest tended to be maintained at high value with precooled and stored at low temperature as storage days elapse. The color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L’ indicating brightness and lower at ‘a’, indicating redness at low storage temperature regardless of harvesting time of the day and whether it was precooling or not. The incidence of gray mold was higher at 15:00 pm harvest than at 07:00 am harvest,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s stored at 10°C after precooling similarly. In this study, strawberry ‘Maehyang’ for export harvested at 07:00 am and stored at 4°C after precooling at 0°C maintained the best shelf lif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desirable to harvest in the morning with low temperature and to precool and store at low temperatur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박지은(경상남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Ji Eun Park (Horticultural Research Division,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김혜민(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경상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 Hye Min Kim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황승재(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경상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 Seung Jae Hwang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Horticultur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