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금산지역 잎들깨 시설하우스에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는 5월 하순 최초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에 1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인 후 7월 상순부터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여 7월 중순 가장 밀도가 높은 2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였다. 방제방법에 따라 발생양상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에는 차이를 보여 화학약제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차먼지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화학약제를 사용할 경우, 농약 잔류 문제로 지속적인 사용을 못하므로 밀도가 높아지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농약잔류에 대한 걱정 없이 유기농업자재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방제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잎들깨 주간내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차먼지응애는 접종 25일 후 최대 발생밀도를 보였고, 중엽, 성엽, 신초의 순으로 알과 약성 충의 총밀도가 조사되었다. 그러나 엽장과 차먼지응애 밀도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상관성이 없어 차먼지응애 발생예찰시 어떤 샘플을 채취해도 정확한 예찰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populations of Polyphagostarsonemus latus (Acari: Tarsonemidae) peaked two times on green perilla grown in greenhouses of Geumsan-Gun, Chungchungnamdo. The first peak of P. latus was in the middle of June, after it was first detected in late May. The population of P. latus peaked for the second time in mid July as its density stared rapidly increasing in early July. The application of chemical pesticides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he two management methods used to control P. latus on green perilla, did not alter the occurrence patterns of P. latus; population size of the mite was much larger in greenhouses using chemical pesticides than in the ones using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his difference might be cuased by continuity of the management methods. Chemical control of P. latus should be limited owing to pesticide residue. The highest density of P. latus on green perilla plants was observed after 25 days after inoculation. The density was the highest in mid-aged leaves (e.g., the largest leaves) and the lowest in newly developed leaves (e.g., smallest leav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P > 0.05) correlation between leaf size and density of P. lat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size (e.g., leaf age) did not affect the occurrence of P. latus. Thus, any leaf of a green perilla plant is available as a sample unit for P. l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