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로로 여객선의 침수 및 침몰사고 원인규명 KCI 등재

Cause Investigation for the Flooding and Sinking Accident of the Ro-Ro Ferry 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48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로로 페리선은 급선회 시 선박의 선미부 객실의 증개축으로 인한 무게중심 상승, 과도한 화물적재, 발라스트 부족 등으로 인한 복 원성 결여 및 고박 부실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전복되어 해저에 침몰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체-구조 연성(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급선회에 따른 빠른 침수 및 전복에 이어 침몰사고로 진척된 원인을 과학적이고 정확하게 규명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고 당시의 동영상과 사진들을 분석하여 시간에 따른 선박의 정확한 자세를 구현하고, 이에 따른 화물 이동과 선체 외부의 해수 유입구와 선체 내부에서의 유입된 해수의 이동 경로에 따른 해수 유입량을 실선 부양 시뮬레이션 및 유체정역학적 특성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확히 검증하여 실선 침수⋅침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사고원인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The Ro-Ro ferry ship capsized and sank to the bottom of the sea because of the rapid turning for several reasons, such as lack of stability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rise from the extension and rebuilding of the stern cabin, excessive cargo loading, and shortage ballast, poor lashing,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ause of the ship’s rapid flooding, capsizing, and sinking accident according to rapid turning scientifically and accurately using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analysis technique. Several tests were conducted for this cause investigation of the flooding and sinking accident correctly and objectively, such as the realization of the accurate ship posture tracks according to the accident time using several accident movies and photos, the validation of cargo moving track, and sea water inflow amount through the exterior openings and interior paths compared with the ship’s posture according to the accident time using the floating simulation and hydrostatic characteristics program calculation, and the performance of a full-scale ship flooding⋅sinking simul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선내 해수 유입량 계산
    2.1 침수 구획 모델링 및 용적
    2.2 해수 유입구 및 선내 침수 경로
    2.3 시간 경과별 선박 자세(선수미 흘수 및 횡경사)
    2.4 생존자 진술에 따른 급선회 침수⋅침몰 상황 재구성
    2.5 선박 자세에 따른 화물 이동 시뮬레이션과 해수 유입
    2.6 사고 당시의 화물적재 상태
    2.7 선수갑판의 화물 유실 및 평형수 유출
    2.8 주요 단계별 해수 유입량 계산
    2.9 선내 누적 해수 유입량
3.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영구(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 Young-Gu Chung (Depart. of Naval Architecture & Ocean Systems Eng,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이재석(해양안전기술 책임연구원) | Jae-Seok Lee (Marine Safety Technology)
  • 하정훈(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 Jung-Hoon Ha (Depar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Systems Eng,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이상갑(한국해양대학교 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 | Sang-Gab Lee (Division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Systems Engineering,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