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공간적 정확성을 요구하는 예측타이밍 과제의 수행시 시각적 지각과 활동의 결합 KCI 등재

Coupling of Visual Perception and Action during the Performance of Anticipation Timing Task with Spatio-temporal Accuracy Deman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1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자극의 속도와 방향이 예측타이밍 반응시에 발생하는 안구운동패턴과 반응의 시공간적 정확성, 그리고 눈과 손의 협응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시공간적 정확성을 요구하는 예측타이밍 과제를 수행할 때 자극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활동이 결합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방법: 12명의 오른손잡이 남자피험자가 다양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극이 목표영역에 도달하는 시점과 일치되게 철필로 자극을 치도록 요구받았다. 피험자가 과제를 수행할 때 안구운동패턴과 반응결과를 측정하였으며, 자극의 속도와 방향에 따른 주시점 이동패턴의 차이, 동작종료시점에서의 주시점 위치와 자극 위치 사이의 간격, 그리고 주시점과 철필위치의 시공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예측타이밍 반응의 시공간적 오차는 자극속도가 빠를수록 증가하였으며, 단속성 안구운동의 잠복기와 빈도, 그리고 주시점 고정기간은 자극속도가 느릴수록 증가하였다. 모든 자극속도 조건에서 주시점은 반응이 종료되기 전에 목표영역에 먼저 도달하였으며, 자극속도가 느릴수록 주시점과 철필의 시간적 연결은 증가하였으나, 주시점과 자극, 그리고 주시점과 철필의 공간적 간격은 감소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자극의 속도와 방향에 대한 시각적 지각에 근거를 두고 발생하는 주시점의 이동패턴이 예측타이밍 반응의 시공간적 정확성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손의 반응과 시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upling of visual perception of stimulus trajectory and action during anticipation timing response with spatio-temporal accuracy demands by analyzing eye movement patterns, response accuracy, and the coordination patterns of eye and hand occurring during the response. Methods: Twelve subjects were asked to hit the stimulus moving at various velocities toward different directions in coincident with its arrival at the target area with a stylus. During the response, subjects’ timing response and eye movement patterns were measured from which differences in the point of gaze(POG) by the stimulus velocity and direction, distances between the POG and the position of stimulus at movement termination, and the spatio-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G a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were analyzed. Results: The spatio-temporal error of timing response increased with increasing stimulus velocity, while the latency and frequency of saccade increased with decreasing stimulus velocity. The POG arrived at the target area before the response completion in all velocity conditions, and while the temporal coupling of the POG and stylus increased with decreasing stimulus velocity, the distances from the POG to the stimulus and stylus at movement termination decreased with decreasing stimulus velocit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G patterns determined by the visual perception of stimulus trajectory function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patio-temporal accuracy of anticipation timing responses and are spatio-temporally coupled with the han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기구
    3. 실험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예측타이밍 반응의 시공간적 정확성
    2. 안구운동패턴
    3. 눈과 손의 협응
Ⅳ. 논 의
참고문헌
저자
  • 박상범(계명대학교) | Sangbum Park (Kei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