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왕우렁이 (Pomacea canaliculata)의 국내 분포와 확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4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외래종인 왕우렁이의 분포와 확산에 있어 영향을 미친 환경 및 인위적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왕우렁이 분포지역 및 관련 사회정책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된 국내 왕우렁이 서식지 중 대부분은 고도 및 경사가 낮고, 농경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왕우렁이 서식지의 특성은 친환경 농업이라는 인위적 활동에 의한 왕우렁이 확산 및 분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왕우렁이와 관련하여 왕우렁이 농법의 국가적 장려, 왕우렁이 농법에 대한 국가 보조금 폐지, 생물다양성법 제정 등과 같은 정책적 변화와 친환경 농산물을 중시하는 웰빙 열풍 등 다양한 정책적, 사회적 사건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왕우렁이의 확산 양상은 사회적 요소 중 유기농 농산물의 재배면적과 비율, 내수면 왕우렁이 생산량과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왕우렁이 확산에 대한 인간 활동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미 뉴트리아, 미국선녀벌레 등 많은 외래생 물종이 우리나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왕우렁이와 같이 인위적 생물 확산이 반복되지 않도록 충분한 제도적 대책 보완과 함께 외래생물에 대한 범국민적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Pomacea canaliculate (channeled apple snail; CAS), which is one of the world’s worst alien invasive species,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raised ecological and economic problem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and dispersal characteristics of CAS in Korea, and analyz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nd anthropogenic (or social) factors on their distribution and dispersal. We considered various events related to CAS such as changes of policy including promotion of agriculture using CAS and enactment of biological diversity conservation law. Our results showed that human activities strongly influenced to the distribution and dispersal of CAS in Korea. Distribution of CAS seemed to relate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conside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CAS habitats. And dispersal characteristics of CA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factors such as cultivation area and rate of organic products, production CAS on inland fisher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왕우렁이 국내 분포 조사
    2. 환경 및 사회 자료 수집
    3. 분석 방법
결 과
    1. 왕우렁이 서식지 환경 특성 분석
    2. 왕우렁이와 사회적 요소 변화
    3. 왕우렁이의 분포 확산 및 확산 요인 분석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대성(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Dae-Seong Lee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 박영석(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Young-Seuk Park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