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온대 동백나무군강의 한국 내 분포 북한계는 연평균 기온 13℃와 14℃, 한랭지수 -10℃로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기후요소의 지리적 공간분포 실체를 검토 하였다. 세 기후요소의 공간분포 양상은 티센망법과 크리 깅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세 가지 기후도를 생산하여 난온대 주요 상록활엽수종의 현존분포와 그 대응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로 난온대 식생의 분포 북한계는 한랭지수 -10℃가 연평균기온 14℃보다 일치하였으나, 연평균기온 13℃가 더욱 정교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한반도에서 연평균기온 13℃를 북한계로 한 난온대 식생역의 잠재 분포 면적은 20,334 km2로 다른 두 온도요소의 경우보다 넓었다. 본 연구는 가공하지 않은 직접 기후요소인 연평균기온 13℃가 가공으로부터 생겨난 간접 기후요소인 한랭지수 - 10℃보다 난온대 식생 분포 북한계에 대응하는 특정 온도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되는 난온대 경계선에 대한 학술적 재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In Korea, specific thermal elements such as annual mean temperature (AMT) 13℃, 14℃, and Kira’s coldness index (CI) -10℃, have been suggested about the northernmost distribution of the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W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thermal elements and the actual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woody plants or its communities. Thiessen and Kriging method using point-data calibrated by seasonal lapse rate according to altitude were utilized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Several phytoclimatic maps were also produced in order to compare different thermal values. We identified that the AMT 13℃ was the best thermal element to demarcate the northern limit of the warm-temperate forest zone. Its area was estimated ca. 20,334 km2 and larger than those of other thermal elements. We concluded that an indirectly fabricated index i.e. CI -10℃ is useless and it was enough for a direct value of AMT 13℃ to represent the northern-limit distribution of warm-temperate forest zone, at least in Korea. Further researches on the reciprocity between floristic regions and phytoclimate zones are rai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