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명승 부안 채석강ㆍ적벽강 일원의 경관관리를 위한 관속식물상 연구 KCI 등재

A Research on the Vascular Plants for the Landscape Management of Scenic Site Chaeseokgang and Jeokbyeokgang Cliffed Coasts, Bu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71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명승 부안 채석강 · 적벽강 일원(扶安 彩石江 · 赤壁江 一圓, 명승 제13호)의 체계적인 식물상 조사와 경관변화를 통해 자연자원 명승의 경관관리와 보전 활용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조사된 관속식물은 65과 138속 1아종 23변종 2품종으로 총 183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양치식물과 나자식물은 각각 2종류에 불과하지만 피자식물은 175종류로 전체 95.6%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식물들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분류군은 국화과(Compositae)로 26종류가 출현하였다. 특산식물은 외대으아리, 은사시나무, 닥나무, 솜분취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식물은 모감주나무, 갯방풍 등 2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유채, 콩다닥냉이, 좀명아주, 미국자리공 등 총 10분류군이 나타났으며, 귀화율은 5.5%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의 귀화도 분석결과 귀화도 5등급에 7종류, 귀화도 4등급, 3등급 2등급에 각각 1종류씩이 조사되었으며, 1등급은 확인되지 않았다. 격포리 일대의 식생은 13여개 식물군락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식물군락은 곰솔군락, 곰솔-굴참나무군락, 곰솔-상수리나무군락, 소사나무-곰솔군락, 소나사무군락, 누리장나무-사철나무군락 등이며 곰솔군락이 전체의 53.55%를 차지하고 있다. 명승 부안 채석강 · 적벽강일원 식생은 곰솔군락이 주를 이루고 있고, 곰솔과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소사나무 등의 혼효림이 17.02%를 이루고 있다. 사계절 식생경관의 변화가 크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참나무류와 소사나무 등의 낙엽수가 분포하고 있어 부분적으로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landscape management, natural resource 􀁆􀁒􀁑􀁖􀁈􀁕􀁙􀁄􀁗􀁌􀁒􀁑􀀃􀁄􀁑􀁇􀀃􀁘􀁗􀁌􀁏􀁌􀁝􀁄􀁗􀁌􀁒􀁑􀀃􀁗􀁋􀁕􀁒􀁘􀁊􀁋􀀃􀁖􀁜􀁖􀁗􀁈􀁐􀁄􀁗􀁌􀁆􀀃􀁕􀁈􀁖􀁈􀁄􀁕􀁆􀁋􀀃􀁒􀁑􀀃􀃀􀁒􀁕􀁄􀀃􀁄􀁑􀁇􀀃􀁏􀁄􀁑􀁇􀁖􀁆􀁄􀁓􀁈􀀃􀁆􀁋􀁄􀁑􀁊􀁈􀁖􀀃􀁒􀁉􀀃􀀶􀁆􀁈􀁑􀁌􀁆􀀃􀀶􀁌􀁗􀁈􀀃 (No. 13) Chaeseokgang and Jeokbyeokgang Cliffed Coasts, Buan. A total of 183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the detail being 65 families, 138 genus, 157 species, 1 subspecies, 23 varieties, and 2 forms. There were only two ferns and two gymnosperms, but also 175 types of angiosperms were 􀁌􀁇􀁈􀁑􀁗􀁌􀂿􀁈􀁇􀀏􀀃􀁚􀁋􀁌􀁆􀁋􀀃􀁌􀁖􀀃􀀜􀀘􀀑􀀙􀀈􀀃􀁒􀁉􀀃􀁗􀁋􀁈􀀃􀁗􀁒􀁗􀁄􀁏􀀑􀀃􀀤􀁐􀁒􀁑􀁊􀀃􀁗􀁋􀁈􀀃􀁓􀁏􀁄􀁑􀁗􀁖􀀃􀁕􀁈􀁖􀁈􀁄􀁕􀁆􀁋􀁈􀁇􀀏􀀃􀁗􀁋􀁈􀀃􀁗􀁄􀁛􀁒􀁑􀀃􀁚􀁌􀁗􀁋􀀃􀁗􀁋􀁈􀀃􀁊􀁕􀁈􀁄􀁗􀁈􀁖􀁗􀀃􀁑􀁘􀁐􀁅􀁈􀁕􀀃 􀁚􀁄􀁖􀀃􀀦􀁒􀁐􀁓􀁒􀁖􀁌􀁗􀁄􀁈􀀃􀁚􀁋􀁌􀁆􀁋􀀃􀁕􀁈􀁆􀁒􀁕􀁇􀁈􀁇􀀃􀀕􀀙􀀃􀁗􀁜􀁓􀁈􀁖􀀑􀀃􀀤􀀃􀁗􀁒􀁗􀁄􀁏􀀃􀁒􀁉􀀃􀀗􀀃􀁗􀁄􀁛􀁄􀀃􀁒􀁉􀀃􀁈􀁑􀁇􀁈􀁐􀁌􀁆􀀃􀁓􀁏􀁄􀁑􀁗􀁖􀀃􀁚􀁈􀁕􀁈􀀃􀁌􀁇􀁈􀁑􀁗􀁌􀂿􀁈􀁇􀀞􀀃􀀦􀁏􀁈􀁐􀁄􀁗􀁌􀁖􀀃 brachyura, Populus tomentiglandulosa,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and Saussurea eriophylla Nakai, while two taxa of endangered plants were identified; Koelreuteria paniculata and Glehnia littoralis. There were a total of 10 taxa in case of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Lepidium virginicum L., Chenopodium ficifolium Sm., and Phytolacca americana L., with the naturalization rate being 5.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aturalized degrees of the naturalized plants, there were 7 plants with 5th degree of naturalization while there were one species for each 4th, 3rd, and 2nd degrees, and there were no 1st degree plant. The vegetation in the Gyeokpo-ri area is divided into 13 plant communities. The representative plant colonies include Pinus thunbergii colony, Pinus thumbergii-Quercus variabilis colon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lony, Carpinus turczaninovii Hance-Pinus thunbergii colony, Carpinus turczaninovii Hance colony, and Clerodendrum trichotomum -Euonymus japonicus colony, with Pinus thunbergii colony taking up 53.55% of the total. As the vegetation in Scenic Site Chaeseokgang and Jeokbyeokgang Cliffed Coasts, Buan mainly consist of Pinus thunbergii colony and mixed pinus thunbergii forest, the vegetation landscape does not become different throughout four seasons, and one can feel partial seasonal changes because deciduous trees, such as Quercus species and Carpinus turczaninovii Hance, are spread in part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선행 연구
3. 연구방법
    3.1 조사대상지
    3.2 조사방법
    3.3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식물상
    4.2 식생경관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정문(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Jeongmoo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