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82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조망수용능 력과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두려움, 흥분, 기쁨 상황의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 력이 수준에 따라 감정조절능력의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각 요인 간의 상 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망수용능력의 하위 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 화, 조직이해와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화, 조직이해가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 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두려움, 충격, 기쁨의 상황에서 유의하였으나, 흥분 상황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망수용능력 중 자기이해능 력은 두려움, 충격,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타인이해는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부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ample of 305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one-way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turn analysis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rol abilities in fear, excitement and jo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in the emotional situation show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between self-understanding, others-understanding,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understanding and others' understanding was high, and there wa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self-understanding and decentralization, others-understanding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self-understanding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nd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Third, the influence of self-understanding, others-understanding,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noted in situations of fear, shock and joy, but not in excited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 수준에 따른 정서조절능력의 차이
    2.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3.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백향기(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융합학과) | Baek Hyang Gi (Department of Child Welfare Convergence, Namseoul University)
  • 이재영(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융합학과) | Lee Jae You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Convergence,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