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눈물막에 미치는 영향
목적 : 미세먼지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눈물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따라 콘 택트렌즈 착용 후 눈물의 양과 안정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방법 : 안질환이 없고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모두 착용하는 20대 근시안 31명을 대상으로, 하루 8시간씩 하루 착용 소프트 콘택트렌즈(L사, 함수율 55%)를 착용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OSDI 값을 기준으로 정상안과 건성안 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미세먼지 농도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된 값을 기준으로 좋음(0~30 ㎍/m³)과 나쁨 (51~100 ㎍/m³) 수준으로 구분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좋음과 나쁨 수준인 날에 모두 눈물검사를 실시하였다. 눈 물양은 OCCUTUBE(OccuTech Co., LTD, Seongnam, Korea)로, 안정성은 침습성눈물막파괴시간(TBUT)과 비 침습성눈물막파괴시간(NIBUT)으로 평가하였고, 미세먼지 수준에 따른 비교는 SPSS version 21.0(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미세먼지 나쁨 수준에서 눈물의 양과 안정성은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 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여(p<.050), 건성안 범주의 값으로 측정되었다. 콘택트렌즈 착용은 미세먼지 좋음 수준에서도 안경착용과 비교하여 눈물양이 감소하였고, 미세먼지 나쁨 수준에서는 TBUT가 감소하였다. 특히 건성안에서는 미세먼지 나쁨 수준에서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정상안보다 TBUT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미세먼지는 눈물의 양과 안정성을 모두 감소시켜 건성안 유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미세 먼지 나쁨 수준에서 콘택트렌즈 착용은 눈물막 안정성을 나쁘게 하여 건성안의 경우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으 므로 미세먼지 나쁨 수준인 날에는 건성안 예방을 위하여 안경착용을 권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ticulate matter (PM) on tear film in contact lens (CL) wearers, the tear volume and stabilit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M.
Methods : Thirty-one myopes in their 20s wearing glasses and CL were participated, and they were required to wear soft CL (L brand, 55% water content) for 8 hours a da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and dry eye groups according to the OSDI score. The levels of PM were divided good (0~30 ㎍/m³) and bad (51~100 ㎍/m³) according to the criteria provided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 tear tests were conducted both on the good and bad PM days. Tear volume was evaluated by OCCUTUBE and the stability was evaluated by TBUT and NIBU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according to the level of PM.
Results : On the day of bad PM level, the tear volume and stabi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wearing glasses and CL (p<0.050) on to the level of dry eye. With the CL wearing tear volume was decreased even on the day of good PM level and TBUT was decreased on the day of bad PM level compared with glasses wearing. In dry eye group, TBU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CL wearing compared with normal group on the day of bad PM level.
Conclusion : PM reduces both the amount and stability of tear that it could be the one of causes of dry eye, and wearing CL at the bad PM level deteriorated the tear film stability that the symptoms of dry eye patients may be worsened, so it is thought that wearing glasses should be recommended for contact lens wearers on the day of bad PM to prevent the dry e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