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노버블 기법을 이용한 화장품 내 유효물질의 피부투과성 증가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kin permeability enhancement of active substances in cosmetics using nanobubble techniqu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2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일본과 유럽에서 시작된 미세버블과 나노버블의 기술은 여러 응용분야에서 적용 가능하고 그 효과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많은 연구자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전문가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나노버블은 물속에서 수개월 이상 존재 가능하다는 연구로부터 화장품과 같은 액상 형태의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포캡슐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나노버블의 생성과 나노버블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내 유효물질 3종(Niacinamide(1.6%), Caffeic acid(1%), Ferulicacid(1%))에 대하여 피부투과성 증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나노버블은 유효물질의 피부투과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나노버블 미함유 물질 대비 최대 250% 피부투과성 증가가 확인되었다(Caffeic acid, 8시간). 이는 화장품 분야 뿐만 아니라 뇌종양과 같은 의약품 투과성에 관련된 분야 등 나노버블 기법에 의한 투과성 향상에 적용 가능한 분야에 연구 성과 및 산업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technology of microbubbles and nanobubbles originated in Japan and Europe is applicable to various applications and its effects are diverse, attracting attention not only from many researchers but also from industry experts. In particular, nanobubble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applied to products in the form of liquids, such as cosmetics, from the study that they can exist for more than several months in water.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the production of nanobubbles using bubble encapsulation technique and the experiment of skin permeability enhancement of active substances in cosmetics using nanobubble techniquethree. Nanobubbles were confirmed to affect the skin permeability increase of active substances, and up to 250% increase in skin permeability compared to non-bubbles-free materials(Caffeic acid, at 8 hour).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results and industrial ripple effects can be expected not only in the cosmetic field, but also in fields applicable to the improvement of permeability by nanobubble techniques, such as areas related to drug delivery system.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미세버블 이론
    2.1. 미세버블(Fine bubble) 거동
    2.2. 나노 버블의 안정성
    2.3. 나노 버블의 유효물질 피부투과성 향상메카니즘
3. 실험 및 방법
    3.1. 나노버블 제조 방법
    3.2. 나노버블 측정 방법
    3.3. 피부 투과도 측정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기포캡슐레이션법 나노버블장치를 이용한나노버블 생성 결과
    4.2. 피부투과성 향상 결과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승일(㈜씨앤비코스메틱) | Park Seung-il (C&B Cosmetic Co. Ltd)
  • 이순홍(안양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Lee Soon-Hong (Dep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이성주(안양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Lee Sung-Joo (Dep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