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henotypic Plasticity and Ornamental Quality of Four Korean Native Veronica Taxa Following Different Light Intensity Treatment KCI 등재

광도 처리에 따른 한국 자생 Veronica속 4분류군의 표현형 유연성과 관상가치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6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실험은 광 환경이 자생 Veronica속 4종 구와꼬리풀, 봉래꼬리풀, 부산꼬리풀, 큰구와꼬리풀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중 봉래꼬리풀은 희귀 및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이며 부산꼬리풀은 우리나라에서도 부산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자 자료부족종으로 분류된다. 실험은 2018년 3월 30일부 터 2018년 8월 17일까지 수행되었으며 Veronica속 4종을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하였다. 구와꼬리풀을 0~6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의 생체중이 무겁고 엽수 및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유의하게 좋았다. 큰구와꼬리풀의 줄기 두께는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유의하게 얇아져 생장이 불량하였다. 구와꼬리풀과 큰구와꼬리풀은 0~60% 환경에서 재배시 모든 개체가 개화하였으며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개화소요일수가 짧 아졌다. 봉래꼬리풀은 0~4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60~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 및 건물증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생육이 좋았으며, 관상가치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부산꼬리풀의 관상가치는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각각 4.0, 3.0, 2.2, 1.0점으로 조사되어 동일한 Veronica속이라도 종에 따라서 광 민감도가 다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The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four Korean Veronica species (V. dahurica, V. kiusiana var. diamantiaca, V. pusanensis, V. pyrethrina) were evaluated under various shading levels. Among the study species, V. kiusiana var. diamantiaca has been designated as both an endemic and a rare species (critically endangered) in Korea. V. pusanensis has been designated as both a rare species (data deficient) and an endemic species, as they exist only in Busa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30 to August 17, 2018 in an experimental plot at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The study species were cultivated under 0%, 40%, 60%, and 90% shading levels. The fresh shoot weight, number of leaves, and number of branches of V. dahurica grown under 0% – 60% shading leve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hen grown under the 90% shading level. The stem caliper of V. pyrethrina grown under 0% – 60% shading leve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under the 90% shading level. V. dahurica and V. pyrethrina grown under 0%, 40%, and 60% shading levels were flowered. Also, time to flowering of V. dahurica and V. pyrethrina grown under 0%, 40%, and 60% shading levels were shorter than when grown under the 90% shading level. The dry weight of the shoots and the visual quality of the kiusiana var. diamantiaca grown under 0% – 40% shading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under the 60% – 90% shading levels. The visual quality of V. pusanensis grown under 0%, 40%, 60%, and 90% shading levels were 4.0, 3.0, 2.2, and 1.0,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ur studied Veronica species have different sensitivities to light intensity.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차광 처리
    조사 항목
    통계 분석
결 과
고 찰
초 록
References
저자
  • Su Jung Song(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송수정
  • Mi Jin Jeong(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정미진
  • Sang Yong Kim(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상용
  • Seung Youn Lee(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이승연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