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reeding of Lilium Asiatic KCI 등재

일대잡종 정원용 아시아틱나리 ‘Orange LiA’ 육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6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정원용 아시아틱나리 유전자원 ‘Tiny Dino’, ‘Elite’, ‘Orange Pixie’와 ‘Partner’를 2000년에 수집하여 2014년까지 ‘Tiny Dino’ 와 ‘Orange Pixie’의 교배조합에서 선발한 모계(L2-3-4)와 ‘Elite’ 와 ‘Partner’의 교배조합에서 선발한 부계(L2-9-6)를 6차례 자가 수분(S6)하여 선발하였다. 이들을 2014년에 교잡하여 채종한 것에서 유래된 구근을 노지재배 하였고, 이것의 생육 및 개화 특성을 바탕으로 2016년에 아시아틱나리 ‘Orange LiA’를 선발하였다. 정원용 아시아틱나리 일대잡종 ‘Orange LiA’은 주황색의 사발모양의 홑꽃으로 반점이 적고 반점의 색은 자주갈색이다. 식물체 당 개화수가 4.2개로 많은 편이며, 화경이 15.1cm로 중간 정도이고 꽃차례 형태는 총상꽃차례로 개화 방향은 상향이다. 초장은 30.5cm이고, 잎의 수는 23.4개이고, 잎의 길이는 8.1cm이며, 잎의 폭은 1.8cm이다. 일대 잡종 ‘Orange LiA’은 대조품종인 ‘Tiny Dino’ 보다 초장이 짧고 일찍 개화되며 월동이 가능하므로 정원용으로 선호도가 우수하다. 또한 이 품종은 양친을 순계화하여 육성하였기 때문에 품종의 재현이 가능하다.

Lilium Asiatic ‘Tiny Dino’, ‘Elite’, ‘Orange Pixie’, and ‘Partner’ were collected in 2000, then crossed and self-pollinated from 2002 to 2014. In 2016, Lilium Asiatic ‘Orange LiA’ was developed as an F 1 hybrid, as a result of crossing ‘L2-3-4’ and ‘L2-9-6’. It was obtained by a 6th self-pollination of the combination, ‘Tiny Dino’ × ‘Orange Pixie’ for the maternal line, and ‘Elite’ × ‘Partner’ for the paternal line. The ‘Orange LiA’ was tested for homogeneity, regional adaptability, and a consumer preference show from 2016 to 2017. The flower of ‘Orange LiA’ is an orange-colored and bowl-shaped single flower with a few spots of purple-brown color. The number of f lowers per p lant was 4.2, with a f lower diameter of 15.1 cm, which was relatively moderate compared to other cultivars. The flower inflorescence was racemose, while the attitude of the longitudinal axis was erect. The plant height was 30.5 cm, and the leaf length was 8.1 cm. The plant had 23.4 leaves. The ‘Orange LiA’ showed a high preference as a garden plant, because it had a relatively short plant height, and early flowering compared to the control, ‘Tiny Dino’. Moreover, this cultiva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roduce, since the parents are pure lines.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육성경위
    주요특성
    재배상 유의점
    유용성
초 록
References
저자
  • Cheon Young Song(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 송천영 Corresponding author
  • Ja Young Moon(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 문자영
  • Byoung Mo Park(전북대학교 생명자원융합학과) | 박병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