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베일러 챔버의 압력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분함량이 원형베일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Baler Chamber Pressure and Moisture Concentration of Italian Ryegrass on Quality of Round Bale Sil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9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원형베일 사일리지 조제에 있어서 원료작물의 수분함량과 베일러 챔버의 압력에 따른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발효품질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확 후 1일(고수분), 2일(중수분) 및 4일간(저수분) 각각 예건하여 서로 다른 수분함량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베일러 챔버 압력이 115, 130 및 145 bar로 설정된 베일러로 원형베일 사일리지를 조제하여 60일간 저장하였다. 베일 사일리지의 무게는 고수분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건물중은 저수분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베일러 압력에 따른 사일리지의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압력이 증가할수록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수분함량과 베일러 압력에 따른 사일리지의 NDF, ADF, CP 및 CF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RFV (relative feed value)는 고수분 저압력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ic acid는 고수분-고압력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저수분-중압력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Butyric acid는 베일러 압력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예건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사일리지 pH는 고수분 처리구가 중수분과 저수분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베일러 압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원형베일 사일리지 조제 시 조사료의 수분함량과 베일러 챔버의 압력이 사일리지의 발효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baler chamber pressure and moisture concentration of Italian ryegras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 silage. Italian ryegrass was wilted for 1 (High-moisture), 2 (Medium-moisture), and 4 days (Low-moisture). And then, all forages were ensiled for 60 days into round bale silo with different levels of baler chamber pressure at 115, 130, and 145 bar, respectively. Bale weights at fresh and dry were higher in high-moisture and low-moisture forages,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aler chamber pressure on fresh weight, their dry weights were increased. Baler chamber pressure and moisture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NDF, ADF, CF and CP of silage. However, the relative feed value (RFV) was highest in High-moisture bale silage with low baler chamber pressure.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High-moisture bale silage with high baler chamber pressure, but lowest in Low-moisture bale silage with medium baler chamber pressure. Butyric acid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the baler chamber pressure, but decreased by increase of the pre-wilting day. Silage pH was lower in High-moisture than in Medium and Low-moistrue, but it was not affected by the baler chamber pressu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isture concentration of forage and baler chamber pressure are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on fermentation quality of Italian ryegrass round bale silage.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재배, 예건, 베일러 압력 처리 및 원형베일 사일리지 조제
    2. 사일리지 사료가치 분석
    3. 사일리지 발효 품질 분석
    4.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예건에 따른 수분함량과 일반성분 변화
    2. 수분함량과 베일러 쳄버 압력이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3. 수분함량과 베일러 쳄버 압력이 사일리지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
References
저자
  • 민창우(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Plus),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Chang-Woo Min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s (BK21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칸인앰(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Plus),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Inam Khan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s (BK21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노현탁(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Plus),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eon-Tak Noh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s (BK21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디마스(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Plus),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imas Hand Vidya Paradhipta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s (BK21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주영호(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Plus),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ung-Ho Joo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s (BK21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동언(농부촌영농단 합자회사) | Dong-Eon Kim (Nongboochonyoungnongdan Co., Ltd.)
  • 허우영(농부촌영농단 합자회사) | Woo-Young Hur (Nongboochonyoungnongdan Co., Ltd.)
  • 이병현(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Plus),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Byung-Hyun Le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s (BK21Plus),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