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표본지 매목조 사를 통한 식생군락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리산국립 공원 산림생태계 보전・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최신 자료를 제공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수-면적 곡선을 작성한 결과, 총 40개의 조사구(총 면적 16,000 ㎡)가 지리산국립공원의 출현 종 및 식생현황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면적 및 개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WINSPAN Classification 결과 4개의 군락으로 분류 되었다. Ⅰ군락은 들메-당단풍나무군락(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Ⅱ군락은 졸참-굴참 나무군락(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Ⅲ군락은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Ⅳ 군락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분류되 었다. Ⅰ군락은 들메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들메나무가 우점 하고 있으며, 층층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며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Ⅱ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굴참나무와 졸참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 쪽동 백나무와 때죽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다. Ⅲ군락은 신갈 나무군락으로 신갈나무가 교목층에서 67%, 아교목층에서 27% 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당단풍나무가 아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경쟁하고 있다. Ⅳ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74%의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다. 아교목층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개서어나무와 쇠물푸레가 경쟁하며 동반발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a sampling survey of Mt. Jirisan National Park. And it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latest data for establishing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forest ecosystems. As a result of TWINSPAN classification, it was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Group Ⅰ is the 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group Ⅱ is the 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group Ⅲ is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Ⅳ is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Ⅰ is dominated by Fraxinus mandshurica in the canopy layer, and Cornus controversa and Quercus mongolica compete and maintain dominance. Group II is dominated by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in canopy layer, and Styrax obassia and Styrax japonicus compete in sub-tree layer. In group Ⅲ, Quercus mongolica has a high dominance of 67% in canopy layer and 27% in the sub-tree layer, and Acer pseudosieboldianum competes with the Quercus mongolica in the sub-tree layer. In group Ⅳ, Pinus densiflora showed a high dominance of 74% in canopy layer. The sub-tree layer i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is accompanied by competition between Carpinus tschonoskii and Fraxinus sieboldi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