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of Practical Stress Experienced by Pre-Nursing Teacher and Coping Methods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G대학 2학년 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은 실습기간 6주중 1주에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환경의 적응이 가장 큰 이유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는 예비보육교사 자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내용으로는 수업진행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실습 환경에스는 휴식 공간 부재와 자유로운 휴식시간이 없는 것, 영유아와의 관계에서는 문제아 지도에 대한 어려움, 시설장과의 관계에서는 보육실습을 노력봉사 하러 온 사람처럼 여기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계획 및 시행에서는 수업분위기 유지, 실습평가에서는 수업에 대한 미숙함과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스트레스 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보육교사들은 문제중심해결 방안 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서는 학교, 기관, 자신의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끊임없이 소통하고 격려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보육 교사들의 스트레스 영향 요인을 미리 예측하고 효율적인 대처방안들을 모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보육실습 경험을 통해 전문인으로서의 보육교사 성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ress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pre-nursing teacher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 2nd year student of G Univers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e-nursing teachers had the highest stress at 1 week out of 6 weeks of training period. The biggest reason was adapting to the new environment. Second, among the stress factors, the pre-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Specifically, the lack of confidence in class progress was found to act as the greatest stress. In the nursery practice environment, there is no rest space and no free rest time. There is also difficulty in coaching problem children in relationship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acility manager, it was found that the pre-nursing teachers were under stress in regards to the child care practice as a person who came to volunteer. While maintaining the class atmosphere in clas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 the practical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y were experiencing stress due to the children's immaturity in class and lack of confid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e-nursing teachers mostly used the problem-centered solu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ished to continue communication and encouragement in common in schools, institutions, and themselves regarding measures to overcome the stress of pre-service nursery teacher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by predic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tress of pre-nursing teachers in advance and seeking effective coping strategies, they will be able to help the growth of nursery teachers as professionals through a successful child care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