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VTS 관점의 준해양사고 분류기준 선정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대상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VTS Marine Incident Classification Criteria at the Busan 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4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중대한 해양사고의 위험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준해양사고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하인리히의 법칙을 이론적 배경으로 들 수 있다. 부산항 VTS의 관제구역에서는 2019.1.1. ~ 2019.12.31.까지 11건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였으며, 같은 기간 24건의 VTS 관점 준해양사고가 보고되었다. 하인리히의 법칙에 따르면 보고된 24건 사례 이외에 더 많은 잠재적인 위험 상황이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부산항VTS 관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준해양사고 24건의 분석을 통해 VTS 관점 준해양사고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잠재적인 위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3일간 교통조사를 실시하였다. 3일간 교통조사 실시 결과 216건의 잠재적 위험 상황을 확인했으며, 1년으로 환산하면 약 26,280건으로 분석된다. 설문조사를 통한 준해양사고 발생의 중요 한 원인인 ‘VHF 통신 피드백 누락’ 등의 조건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감안하더라도 관제구역 내 많은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VTS 관점의 준해양사고 보고제도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In order to prevent the dangers of major marine acci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be aware of in advance through marine incidents in the background of Heinrich's law, formulated by the safety pioneer who is credited with focusing on workplace safety with emphasis on the human element. At least 11 cases of collision accidents occurred in the Busan VTS area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2019, and 24 cases of VTS marine incidents were reported during the same period. According to Heinrich's law, there could be many more potentially risky situations besides the 24 reported cases.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VTS marine incidents were established through advanced research and a survey of VTS operators, and analysis of 24 cases of VTS marine incidents in the Busan VTS area. Traffic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ree days to identify potentially hazardous situa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were 216 cases of VTS marine incidents, and within a year, it is estimated there could be about 26,280 cases. Even if conditions such as "missing VHF communication feedback" which is an important cause of marine incidents, are not reflected, there are many potential risks in the VTS area. Thus, it is vital to strengthen the VTS marine incident reporting system.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준해양사고에 관한 이론적 고찰
    2.1 IMO(국제해사기구)와 IALA(국제항로표지협회)의 준해양사고 정의
    2.2 국내법상의 준해양사고 정의
    2.3 VTS의 준해양사고 관리 현황
3. VTS 관점의 준해양사고 기준 설정
    3.1 선행연구 검토
    3.2 부산항 관제사 대상 준해양사고 기준 설문조사
    3.3 준해양사고 관리대장 분석
4. 부산항 관제사 입장의 준해양사고 기준 적용
    4.1 대상해역 내의 해양사고·준해양사고 현황
    4.2 준해양사고 기준의 적용
    4.3 VTS 관점의 준해양사고에 대한 고찰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하종민(부산항VTS 관제사) | Jong-Min Ha (VTS Operator, Busan VTS)
  • 박영수(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Young-Soo Park (Maritime Transportation and Sciecne,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박상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 Sang-Won Park (Korea Maritime Institute)
  • 정재용(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Jae-Yong Jeong (Division of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