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디 생산을 위한 뽕나무 계통별 과실 특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Fruit Characteristice According to Mulberry Breeding Lines for Fruit Produ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대성뽕'외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 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루당 10kg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수성뽕', '청노상', '수원노상', '절곡조생(충북)' 4계통을 다수성 계통으로 선발하였다. 또한 단과중이 3.5g 이상인 대과형 계통과 17 Brix ~% 이상인 고당도 계통을 각각 5계통, 4계통 선발하였다. 공시계통 중 '절곡조생(충북)'은 단과중이 4.5g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강선'은 19.6 Brix ~% 으로 당도 함량이 가장 높았다. 2. 수량, 단과중 및 당도 값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오디 생산용 우량 계통으로서 '절곡조생(충북)', '팔청시평', '강선', '수원노상', '죽천조생', '수성뽕', '당상7호', '장소상' 8계통을 선발하였다.

We evaluated fruity characteristics to select the desirable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Tested items were total yield, weight of single fruit, soluble solids and fruit size including length, width, and petiole length. 'Susungppong', 'Cheongnosang', 'Suwonnosang' and 'Jeolgokchosaeng (Chungbuk)' were showed high yield for three years. In weight of single fruit, 'Jeolgokchosaeng (Chungbuk)' was 4.5 g. 4 mulberry varieties were showed move than 17 Brix ~% in soluble solids. From that results, eight suitable varieties such as 'Jeolgokchosaeng (Chungbuk)', 'Dangsang 7', 'Jangsosang', 'Susungppong', 'Suwonnosang', 'Palcheongsipyung', 'Kangsun', and 'Jukcheonchosaeng' were selected for the production of fruit.

저자
  • 김현복(농업과학기술원)
  • 성규병(농업과학기술원)
  • 강석우(농업과학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