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교수행의 신체 치료적 적용 -신념처 중심으로 KCI 등재

Physical therapeutic application of Buddhist practice : Focused on the mindfulness of the bo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8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불교 수행이 현실적인 문제 즉 아(我)의 대표적인 요소인 신체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아함경전을 근거로 四念 處 가운데 신념처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에 있다.
실제, 초기 아함경전을 살펴보면, 수행법 중 四念處를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중요성에 비례해 많은 경전에서 언급하고 있다. 四念處는 신념처‧ 수념처‧ 심념처‧ 법념처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네 가지 수행법에 대하여 초기 불교는 신념처 수행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는 역부여시(亦復如是)라 시설하면서 신념처의 용례에 따른다고 언급하고 있다. 四念處의 첫 번째 항목인 신념처는 신체에 의식을 집중하여 마음을 보고 신체로부터의 해탈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초기 불교 붓다의 수행법은 신체, 즉 현실에서 출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교 수행법은 초 현실적인 공과 무아를 말하고, 열반과 해탈을 중시하여 신체는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처럼 알 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초기 붓다 시대의 수행법은 신체에 출발하였 으며, 신체의 모든 작용을 아는 것에서 출발했다. 불교 수행법도 이와 같아서 목표는 열반과 해탈에 두고 공과 무아의 성취에 두지만, 그 목표와 성취로 나가는 출발점은 현실과 신체의 문제 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본고는 초기 불교 수행의 四念處 중 신념처의 위상과 중요성을 한역 아함경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같은 이유로 신념처에 기반하여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현대인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해 결할 수 있는 감각기관 조절 명상, 행위 명상, 부정적 생각 끊기 명상, 호흡명상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practice of Buddhism deals with the practical problem, that is, the problem of the bod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element of the self, based on the āgama, focusing on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fact, if you look at the early āgama, not only did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be treated very importantly, but also mentioned in many scriptures in proportion to their importance.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consists of the mindfulness of the body, the mindfulness of feelings, the mindfulness of mind, and the mindfulness of dhammās. Regarding thes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early Buddhism specifically explained how to practice the mindfulness of the body, and the rest were installed as the same is true Yeokbuyeosi (亦復如是). And it is mentioned that it follows the usage of the mindfulness of the body. The first item in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he mindfulness of the body, focuses consciousness on the body to see the mind and emphasizes liberation from the body.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early Buddhist Buddha's practice was starting from the mindfulness of the body. In general, Buddhist practice refers to trans-world, śūnya and anātman, and emphasizes nirvana and liberation, so the body is known to be relatively unimportant. However, in fact, the practice of early Buddha's era started with the body and knowing all the functions of the body. The practice of Buddhism is focused on the reason of the middle way out of the extremes.
The two extremes are two systems: existence and nonexistence, greed and no desire, world and trans-world, anguish and nirvana, karma and liberation, such as pain and joy, and the system of both extremes is an inseparably connected conditioned genesis. The concept of both extremes and existence are all connected and that does not mean that any one is not unilaterally important. The same is true of Buddhist practice, so the goal is nirvana and liberation, and the achievement of śūnya and anātman, but the starting point for that goal and achievement starts from the problems of reality and the bo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the mindfulness of the body among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of early Buddhism practice, focusing on the āgama(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For the same reason, I propose sensory-controlled meditation, action meditation, negative thought breaking meditation, and breathing meditation that can solve the physical and mental pain of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stress based on the mindfulness of the body.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아함에 나타난 신념처설
Ⅲ. 신념처 수행의 현실적용 명상법
Ⅳ. 나아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변순미(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 Byun Soon Mi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