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입목재적 계산에 기본이 되는 수간고별 직경 추정에 있어 머신러닝 기반 학습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하는 상수리나무 표준목에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Kozak Model (Model 1)과 Random Forest Model (RF, Model 2 to 4)로부터 수간고별 직경 값을 도출하였고, 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RF는 입지환경 요소를 학습에 활용하여 3가지 모델 (Model 2 (수고, 흉고직경), Model 3 (수고, 흉고직경, 입지환경 요소), Model 4 (수고, 입지환경 요소))로 개발하였다.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Fitness Index), 편의(Bias), 평균절대편차(Mean Absolute Deviation),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Kozak 모델(FI = 0.9695, Bias = 0.0292, RMSE = 1.5155, MAD = 1.1248) 에 비해 RF모델이 전반적으로 수간고에 따른 직경을 잘 예측하는 모델로 나타났으며, RF 중에서도 입지환경 요소를 학습에 활용한 Model 3의 경우(FI = 0.9740, Bias = 0.0186, RMSE = 1.3995, MAD = 0.9746)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간곡선을 통한 경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구간에서 수고의 변화에 따른 직경 추정에 이상치가 발생하여 추후에는 파라미터조절이나 새로운 모델 적용 등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정된 Random Forest 기반의 수간고별 직경추정 모델은 개체목 재적산출에 활용되어 산림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the estimation of diameters by stem height that is a basic factor to measure stem volume. To this end, stem tapers were computed by using Kozak Model (Model 1) and Random Forest Model (RF, Model 2 to 4) based on data for samples of Quercus acutissima spread across South Korea to compare them. By including site characteristic factors in the learning, RF was developed into three different models: Model 2 with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Model 3 with height, DBH, and site characteristic factors, and Model 4 containing height and site characteristic factors. Compared were the values for Fitness Index(FI), Bias, Mean Absolute Deviation (MAD),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o test the goodness of fit for each model. The findings showed the superiority of the RF models to the Kozak one(FI = 0.9695, Bias = 0.0292, RMSE = 1.5155, MAD = 1.1248) in estimating stem tapers. Among the RF types did Model 3 perform best (FI = 0.9740, Bias = 0.0186, RMSE = 1.3995, MAD = 0.9746). It should, however, be noted that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rends of stem tapers revealed outliers in a few parts of the whole process. This requires further research on new approaches to control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