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카드뮴과 납의 다경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 KCI 등재

Estimation of Multi-Route Exposure and Aggregated Risk Assessment for Cadmium and Lea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통합 노출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에 대한 통합 노출 연구가 필요하다. 카드뮴과 납은 각각 신장 독성과 인지 장애 등 다양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납의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016, 2017년의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참여한 10,733명의 식품, 물, 흡연과 간접흡연, 호흡, 화장품, 여성용 위생용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 추정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과 납 모두 식품을 통한 노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흡연은 카드뮴의 주요한 노출원이었으며, 납은 화장품을 통해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다. 통합 위해평가에서도 식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의 차이는 노출 추정량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연령 별, 성별 간 노출 추정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월경 중인 성인 여성의 경우 카드뮴, 월경 중이지 않은 여성은 납의 노출 추정량이 더 높으며 신체 대사를 고려하였을 때,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평가 모두 식품이 주요 노출원이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로에 대한 노출량 추정 및 위해평가가 요구된다.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occurs through multiple pathways. Aggregated risk assessment, which includes all potential exposure pathways to a single toxicant, is necessary to prevent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We aimed to estimate cadmium and lead exposure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food, water, air, smoking, cosmetics, and female hygiene products. This study covered 10,733 subjects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6, 2017). Dietary exposure was estimated using 24-hour recall data. For water and inhalational exposure, regional variations were considered. Water was classified as tap, bottled, and public water. Inhalational exposure was estimated using the ‘2014 Time Use Survey’ based on daily lifestyle and social status. The frequency and volume of cosmetic usage were randomly approximated by sex and age. Post-menarcheal and premenopausal women were assumed to use feminine hygiene products. Non-carcinogenic aggregated risks were estimated using the Aggregate Risk Index from EPAs and the Total Exposure Hazard Index from Korean government guidelines. For carcinogenic risk assessment, excessive cancer risk was estimated. Ingestion, especially food, was the major route for both cadmium and lead exposure. Smoking was also associated with high cadmium exposure. Exposure to lead from cosmetics was remarkable but not critical. In aggregate risk assessments, median cadmium and lead exposure did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Sex, age, smoking status, and income affected exposure levels, unlike to regional variation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노출량 추정 대상자 선정
    농도 자료 수집
    식품
    물
    공기 및 담배
    화장품 및 여성 위생용품
    노출 시나리오
    식품
    물
    호흡 및 흡연
    화장품 및 여성 위생용품
    통합 위해평가
    통계 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노출량 추정
    통합적 위해평가
    집단 별 노출 추정량 비교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노출 추정량 비교
    직업, 소득 특성에 따른 노출 추정량 비교
    지역적 특성에 따른 노출 추정량 비교
Conclusion
국문 요약
References
저자
  • 유창우(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Changwoo Yu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훈정(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Hoonjeong Kw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