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전쟁의 기억과 매향리: 사회참여미술로 본 매향리의 상징성 KCI 등재

Memories of the Korean War and Maehyangri: Symbolism of Maehyangri in Socially Engaged A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08
  • DOIhttps://doi.org/10.15597/jksmi.25083538.2020.30.2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이 논문은 사진가들과 미술가들이 매향리를 기억하고 상징화하기 위해 어떠한 작업을 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매향리는 1950년 한국전쟁 이후부터 50여 년간 미공군이 작은 해안 시골마을 옆의 섬을 표적삼아 폭탄 투하 연습을 했던 곳이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 이후 촉발된 사회참 여와 미국의 폭력성에 저항하고자 했던 작가들은 매향리 주민들의 고통을 대변하여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작가들은 권력의 주류 담론에 대한 저항 의식과 자주화,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폭발 적으로 터져 나오면서 매향리 주민들과 그들의 메시지를 예술로써 사회에 전달할 것을 촉구했다. 1990년대부터 쿠니사격장의 폐쇄 전까지 임옥상은 매향리에 떨어진 포탄 잔해물을 모아 미국을 풍자하는 조형물을 설치했으며, 노순택은 제도적 폭력과 분단 상황을 리얼리즘 사진으로 포착했 다. 이후 2018년 탈북화가 선무는 《반갑습니다》를 개최하여 남북의 화해와 평화를 염원하는 차원에서 남북미 세 지도자의 초상화를 매향리에 설치했다. 이러한 미술가들의 작업은 한국전쟁 이후 이데올로기적 갈등과 한국사회의 모순을 지적함으로써 한반도의 평화라는 의미가 무엇인지 되묻는다.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undertaken by certain photographers and artists to remember and symbolize Maehyangri, a small coastal village neighboring an aerial bombing range the U. S. Air Force has used for more than 50 years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A group of artists, who became active in social engagements during the pro-democracy movement of the 1980s, witnessed the sufferings of the villagers and voiced their criticism against the violence inflicted by the U. S. military. In solidarity with the Maehyangri residents, these artists created artworks in the village as a message of self-reliance, democratic will, and detestation of mainstream discourse. They serve as a poignant reminder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n Korean society and ask us to reflect on the subject of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매향’에서 ‘탄향’으로
Ⅲ. 보이지 않는 선과 넘을 수 없는 선
    1. 시선의 권리와 시선의 윤리
    2. 경계에 선 정체성의 내재된 욕망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홍성후(명지대학교 한국미술사연구소) | Hong Sunghu (The Korea Art History Research Institute in Myongj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