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변화신념, 리더십 개발활동, 상태불안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KCI 등재

Path Analysis of Leadership Implicit Theory, Leadership Development Activity, Status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iddle Manag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리더십 변화신념, 리더십 개발활동, 상태불안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를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중간관리자 60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모형에 대한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리더십 고정신념과 증진신념은 모두 리더십 개발활동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리더십 개발활동은 다시 상태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상태불안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십 고정신념이 상태 불안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리더십 증진신념은 상태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리더십 고정신념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리더십 증진신념은 이직의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리더십 변화신념인 고정신념과 증진신념이 각각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리더십 개발활동과 상태불안이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리더십 개발활동은 상태불안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작용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leadership implicit theory on turnover intention of middle managers. For this, we recruited 600 middle managers and we examined the path model to represent leadership entity theory, leadership incremental theory, leadership development activity, status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A result of the direct effect of the model was that all of leadership entity theory and leadership incremental theory influenced a leadership development activity, and leadership entity theory resulted in status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but leadership incremental theory resulted in status anxiety negatively. An indirect effect of this model was that leadership development activity and status anxiety had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effects between leadership implicit theory and turnover inten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중간관리자의 이직의도
    2. 리더십 변화신념
    3. 리더십 변화신념과 제 변인과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검증
    3. 측정모형 검증
    4. 경로모형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화영(한양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Kim Hwa You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Hanyang Women’s University)
  • 조민경(한양대학교 교육학과) | Jo Minkyung (Department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