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칭학 성과 및 도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 코칭학을 중심으로 KCI 등재

Domestic Coaching Performance and Challenges: An Exploratory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왜 코칭학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국내에서 코칭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코칭을 좀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코칭에 대한 근본적 탐색 및 성찰이 필요하다. 이는 코칭학은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적 질문으로 연결된다. 코칭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코칭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코칭학을 명확히 하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칭학의 과거, 현재 및 미래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코칭학의 현재까지의 성과는 무엇인가? 둘째, 코칭학의 미래를 위한 도전 과제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고찰을 하 였으며, 사회과학적 고찰과 사회문화적 고찰을 통하여 코칭학에 대한 기반을 분석하였다. 둘째, 코칭학에 대한 현재까지의 성과를 알아보고자 국내 코칭학, 코칭동향 및 코칭심리학 연구를 포함하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고 현재까지의 코칭학 발전 관련하여 국내 코칭학 및 국외 코칭학에 대한 지 금까지의 현황과 관련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셋째, 미래의 코칭학을 위한 도전 과제로 융합을 통한 연계성 추구, 미래 변화의 불확실성에 준비, 개인 및 관계의 복잡성 해결을 위한 기본 및 혁신성 추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y there should be coaching.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aching in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more effective coaching, fundamental exploration and reflection on coaching are needed. This leads to an exploratory question about what coaching is. It is necessary to clarify coaching so that coaching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can recogniz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aching.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domestic coaching studies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iscussed. What is the history and academic review of coaching? What are the achievements of coaching so far? How do we take on the challenges for the future of co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eview of coaching was conducted, and the basis for coaching was analyzed through social science and sociocultural consideration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he achievements of coaching studies to date, related studies including domestic coaching studies, coaching trends, and coaching psychology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The meaning of the current status of crane was analyzed. Third, as a challenge for future coaching studies, the pursuit of connectivity through convergence, preparation for the uncertainty of future change, and pursuit of basic and innovativeness for solving the complexity of individuals and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코칭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Ⅳ. 현재까지의 코칭학 성과
    1. 국내 코칭학 연구
    2. 국외 코칭관련 연구
Ⅴ. 코칭학 미래를 위한 도전
    1. 융합을 통한 연계성 추구
    2. 미래 변화의 불확실성에 준비
    3. 개인 및 관계의 복잡성 해결을 위한 기본 및 혁신성 추구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유천(동국대학교 상담코칭학과) | Kim Yu Cheon (Department of Counseling Coaching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