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로관여행동이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KCI 등재

Occupational Eng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Happenstance coping skill and Career Adaptability as Sequential Media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진로관여행동이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 적응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세에서 79세 사이의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인 15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및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간접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관여행동은 우연대처기술과 진로적응성에, 우연대처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관여 행동과 진로만족 간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진로관여행동이 진로 만족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우연 대처기술과 진로적응성의 총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별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진로관여행동과 진로만족 간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적응성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진로관여행동과 진로만족 간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적응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로관여행동이 우연대처기술과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만족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있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eng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The sample was comprised of 155 adults aged 20 to 79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in South Korea.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provide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survey results. We performed correlation and mediation analysis of survey data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PROCESS. Additionally, we used bootstrap methods to test the indirect effects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eng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occupational engagemen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Happenstance coping skills also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e results for bootstrapping revealed that the direct effect of occupational engagement on career satisfac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total indirect effect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link between occupational eng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is significant. Finally,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happensta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eng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is relationship is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is link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effect of occupational engagement on career satisfaction is mediated through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last section of the paper.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진로관여행동과 우연대처기술
    2. 우연대처기술과 진로적응성
    3. 진로적응성과 진로만족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연구모형 분석 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원경림(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Won Kyung-Rim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