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가 느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연구 KCI 등재

The Meaning and Difficulties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Experienced by Daycare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최근 국내외 교육과정은 역량을 중심으로 미래 사회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며 ‘배움을 즐기는 행복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따라 교육부는 유아교육 혁신방안으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개편하였고, 3~5세 유아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교육과정으로 2020년 3월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시행 이후, 보육교사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어떤 의미로 받아 들이고, 실천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 봄으로써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원,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각 2회씩 비형식적인 형태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주체적으로 노는 유아 발견’, ‘놀이에 대한 가치 발견’, ‘교사의 역할 변화’로 의미를 부여하였다. 실천에 어려움으로는 ‘놀이 지원의 한계’, ‘개입의 모호함’, ‘내부 방해 요인들’, ‘부모 이해 부족’, ‘업무 과중’을 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현장 지원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s are moving toward meeting the future society with the focus on competence.,Therefore,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emphasizes the learner's experience and pursues 'happiness education to enjoy learn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is era,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South Korea re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curriculum centered on children and play as an innov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March 2020 as a curriculum commonly applied to children aged 3 to 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pport and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by exploring what difficulties daycare teachers have in accepting and practicing play-centered curriculu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informal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for eight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G city. As a result, the daycare teachers gave meaning to play-centered curriculum as 'child discovery playing independently', 'discovery of value for play', and 'change in role of teacher'. The difficulties in practice were 'limits of play support', 'ambiguousness of intervention', 'internal obstacles', 'lack of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overwork'.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wareness and difficulties of daycare teachers about play-centered curriculum. The date can be used for stable settlement of play-centered curriculum in the fiel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implications for practical on-site support of play-centered curriculum can b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2019 개정 누리과정
    2.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3.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III.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및 타당성 검토
IV. 연구결과
    1. 보육교사가 느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2. 보육교사가 들려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어려움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정영미(경남도립거창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 Jeong Yeong Mi (Department of Child Care & Welfare, Gyoch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