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Infants' Playfulness Recognized by Parents and Children's Playability Recognized by Teachers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한 유치원 3곳에 재원중인 만 3,4,5세 부모 296명과 담임교사 17명을 선정하여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능력, 주도성, 창의성, 의사결 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리더십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놀이성을 인식하고 유아가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여 또래 집단 속에서 유능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layability of children perceived by parents and the playability of children recognized by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96 parent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and 17 homeroom teachers enrolled in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e study tested the playability of parents, the playability of teachers, and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collinearity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layability of infants perceived by parents and the playability of infant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infa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factor of infant leadership according to infants' gender, pro-social ability, initiative, and creativity.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 making.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layability of the child perceived by the parents, the playability of the child recognized by the teacher, and the leadership of the child. Third,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children's leadership, children's play perceived by the teach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eading participation, cognitive flexibil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voluntary commitment among the subfactor of children's playability recognized by the parents. Among the gender subfact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s and teachers to recognize children's playability, and for children to happily participate in play and grow into competent leaders in peer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검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의 처리 및 분석
Ⅲ. 연구결과
    1. 유아의 성별에 따른 부모가 인식한 유아 놀이성, 교사가 인식한 유아 놀이성, 유아의 리더십
    2.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3.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백미열(신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Baeg Mee-Yeol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ins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