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구 대양의 극저 해수면온도 공간 분포와 지구과학교과서 데이터 시각화 분석 KCI 등재

Spatial Distribution of Extremely Low Sea-Surface Temperature in the Global Ocean and Analysis of Data Visualization in Earth Science Textboo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4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해수면온도는 해양-대기 상호작용, 열속 변화, 대양의 해양 순환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해양 변수들 중의 하나이다. 0oC 이하 −2oC까지 극저 해수면온도는 기후변화 및 지구환경 변화를 유도하고 조절하기 때문에 다른 범위의 해수면온도보다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전구 대양에서 이러한 극저 해수면온도의 시간적 공간적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1982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 동안 관측된 인공위성 일별 해수면온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평균 기후장을 산출하였다. 또한 장기간의 해양 실측 자료에 기반하여 생산된 표층 수온의 기후 평균장을 활용하여 극저 해수면온도가 전구 대양에서 존재하는 해역과 0oC 등온선의 월별 공간 변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극저 해수면온도는 북극해와 남극해와 같은 극지 해역과 고위도의 연해에서 상당한 해양의 표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극저 해수면 온도가 어떻게 시각화되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6종 지구과학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해수면온도 삽화는 0oC 혹은 그 이상 수온에서 부터 도시하여 학생들이 극저 해수면온도에 대한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획득 하는 것을 저해하고 있었다.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주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므로 위성 해수면온도 자료가 교과서에 적절하게 시각화되도록 교과서 삽화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자료와 해양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하여 해양학적 소양과 데이터 리터러시가 동시에 함양되고 강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Sea-surface temperature (S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ceanic variables for understanding air-sea interactions, heat flux variations, and oceanic circulation in the global ocean. Extremely low SSTs from 0oC down to −2oC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normal temperatures because of their notable roles in inducing and regulating global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uch extremely low SSTs in the global ocean, the long-term SST climatology was calculated using the daily SST database of satellites observed for the period from 1982 to 2018.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regions with extremely low surface temperatures of less than 0oC and monthly variations of isothermal lines of 0oC were investigated using World Ocean Atlas (WOA) climatology based on in-situ oceanic measurements. As a result, extremely low temperatures occupied considerable areas in polar regions such as the Arctic Ocean and Antarctic Ocean, and marginal seas at high latitudes. Six earth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these extremely low temperatures were visualized. In most textbooks, illustrations of SSTs began not from extremely low temperatures below 0oC but from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0oC or higher, which prevented students from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roles of the low SSTs. As data visualization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data literacy,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at SST data are adequately visualized in the textbooks. This study emphasized that oceanic literacy and data literacy could be cultivated and strengthened simultaneously through visualizations of oceanic big data by using satellite SST data and oceanic in-situ measurement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자료
    전구 해양수온 실측자료
    전구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자료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
연구 방법
    해수면온도 평균장
    해수 수온의 범위에 따른 분포와 면적 비율
    해수면온도 삽화 분석
연구 결과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해수의 어는점과 극저 수온
    대양 극저 수온 분포
    극지 대양 극저 수온의 계절변동
    지구과학교과서 해수면온도 영상 범위
    해수면온도영상 시각화 표출 방식
토 의
    극저 해수면온도 표출의 중요성
    데이터 시각화
    해양학적 소양과 해수면온도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경애(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Kyung-Ae Par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손유미(서울국제고등학교) | Yu-Mi Son (Seoul Global High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