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뉘른베르크 오페라 《젤레비히》(Seelewig)에서 사용된 악기와 조성에 대한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 KCI 등재

The symbolic meaning and emotion-expression about the musical instrument and tonality used in Nürnberg-opera Seelewi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5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1641-1649년에 하르스되르퍼(Georg Philipp Harsdörffer, 1607-1658)는 8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문학전집 『여성실에서의 대화놀이』(Frauenzimmergesprächspiele)를 완성하고 4번째 권에 《젤레비히》(Seelewig)를 수록하여 1644년에 출판한다. 당시 하르스되르퍼의 대본을 가진 《젤레비히》는 무대작품의 표현법들을 담아 슈타덴(Sigmund Theophil Staden, 1607-1655)의 음악과 함께 극작품으로 탄생된다. 따라서 ‘텍스트의 소통을 위해’ 《젤레비히》에서 사용된 개별 악기와 조성은 각각의 등장인물과 연계되어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을 가지며 텍스트의 내용과 전개처럼 음향적 내용과 전개로 소통력을 보여준다. 결국 제시된 악기와 조성의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은 바로크 뉘른베르크 오페라 «젤레비히»에서 소통된 당시 사회의 ‘문화적 소리’로 음악 사적 의미를 갖는다.

In 1641-1649, Harsdörffer completes the eight-volime literary collection 『Frauenzimmergesprächspiele』 and include 《Seelewig》 in the fourth volume and published it in 1644. The 《Seelewig》 with the script of Harsdörffer at the time was born into a dramatic work with the music of Staden with the expressions of the stage works. Thus, the individual instruments and tonalities used in the 《Seelewig》 for textual communication have symbolic meanings and emotion-expressions associated with each actor. Therefore, instruments and tonalities associated with the actors of the 《Seelewig》 opera show by acoustic development and contents the communication power like texts. Eventually, symbolic meaning and the emotion-expression of the presented musical instruments and tonalities have musical historical meaning as the ‘cultural sound’ of society at that time communicated in Baroque Nürnberg-opera 《Seelewig》.

목차
1. 들어가면서
2. 작품탄생배경 및 구성
    2.1. 작품탄생배경
    2.2. 작품구성
3. 악기와 조성에 대한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
    3.1. 악기에 대한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
    3.2. 조성에서 나타난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
  • 조연숙 | Yeon-Sook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