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시인성 스마트 안전의류의 설계 및 제작 KCI 등재

Designing and Fabricating of the High-visibility Smart Safety Clot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3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형광직물과 재귀반사 소재만으로 제작, 보급되고 있는 현 안전의복에, LED 부착으로 시인성을 높여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고, 기울기 센서와 소리신호를 탑재하여 의식불명 자의 구명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학적 하이테크를 적용하여 설계·제작한 산업용 서스펜더형 안전벨트 및 기울기 센서와 소리신호가 탑재된 안전조끼형 벨트를 개발하였다. 그 효과로 첫째, 서스펜더형 안전벨트는 필름에 접착된 자동 점멸 LED에 의해 빛을 방출하도록 설계하여 벨트 착용자의 신체는 LED와 재귀반사를 통해 멀리서 인식되 어 사고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야간에 실시하는 도로변이나 고지대에서의 작업, 구조대원 활동, 스포츠 활동 시 사고를 예방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LED 발광을 변화시키는 신호로 사고 지점을 빨리 발견할 수 있어 인명구조 에 도움이 된다. 둘째, 착용자가 조난사고 등으로 인하여 의식불명으로 쓰러질 경우, 조난신호를 발생하는 첨단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감지 및 신호 장치를 탑재한 결과 제어부의 기울기 센서가 인체의 각도를 자동 감지하였다. 동시에 조끼형의 벨트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사고로 착용자가 쓰러지면 이 벨트의 기울기 센서가 각도를 감지하고 제어기가 고주파 음과 LED 점멸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킨다. 기존의 안전 조끼의 경우 주변 조명이 없을 때는 조끼를 착용한 사람을 감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안전벨트의 음향과 빛 신호로 주변 조명이 없을 때에도 100 m 이내에서 착용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LED 부착과 기울기 센서, 소리신호 소자를 부착한 스마트 안전의류의 개발은 사고발생 감소와 구명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gress the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of existing safety clothing by applying high technology to current safety clothing that is produced and distributed only with fluorescent fabrics and retroreflective materials. Therefore, the industrial suspender-type safety belt and engineering technology are introduced, designed, and fabricated to help save a life in an emergency. First, the suspender-type safety belt to be developed is designed to emit light by LED attached to the film, and the body of the belt-wearer is recognized from a distance through retroreflection from the flashing LED. It aims to support people's safety by preventing accidents during roadside work, rescue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at night. Second,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devices when the user is in an unconscious state due to distress or falls into an unconscious state due to distress or accident, the tilt sensor of the control unit attached to the belt automatically detects the angle of the human body and generates light and sound. It is intended to further enhance the utilization by mounting a sensing and signaling device that generates a distress signal and shaping it in the form of a belt attached to a vest tha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garment. When the wearer falls due to an accident, the tilt sensor of this belt detects the angle change and then the controller generates a high-frequency sound and repeated LED blinking signals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afety vests, it is almost impossible to detect that the person is wearing a vest when there is no ambient light, but in case of the safety belts in this study, the sound and light signals of the safety belt enable us to find the wearer within 100 meters even when there is no ambient light.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안전의류의 개발
    3.1 서스펜더형 안전벨트의 제작
    3.2. 조난구명용 안전의류의 제작
4. 결과 및 고찰
    4.1 서스펜더형 안전벨트
    4.2. 조난구명용 조끼형 안전벨트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박순자(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 Soon-Ja Park 교신저자
  • 김선웅(LED팜 연구소장) | Sun-Woo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