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대 실크로드와 고조선 경금 제직기의 연관성 고찰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Silk Road and High-technology Machine in Producing Kyung-Ge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3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실크로드의 역사를 다시 조명하여 실크로드의 주역이었던 고조선의 아름다운 실크의 감성을 찾아보고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의 역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고서, 서적, 논문, 유적지 발굴 유물들을 분석하는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유물에 대한 자료는 다양한 서적과 논문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관련 유물사진들을 수집한 2차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고대 실크로드와 고대 동양에서 발견된 고조선의 경금의 실크 생산 환경을 조사한다. 두 번째, 고조선의 경금의 고도의 제작기술에 대해 조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BC 4500년 홍산문화의 동이족으로부터 발견된 옥으로 만든 누에를 통해 고조선의 실크 생산 시기를 추론할 수 있다. 신장자치구 누란, 아스타나, 니야 등에서 경금이 많이 출토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경금은 기원전 11세기경으로 서 발해만 고조선의 수도 중 하나였던 조양에서 발굴된 것이다. 서양의 브로케이드 및 다마스크의 기원으로 보이는 경금은 고조선의 수평 사각직기인 제화루기로 고도의 제직기술의 발전된 직기를 통해서 생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고대 실크로드의 특징은 기원전 5-6세기경 발해만 유역의 고조선에서 생산한 경금 견직물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한나라의 사직기나 서아시아의 수직직기로 경금 제직이 불가능하며 고조선의 제화루직기과 함께 고도의 제직기술 을 통해서만 경금이 탄생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대의 실크에 관한 역사 연구를 이어나가기 위해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며, 앞으로 고대 실크에 관한 후속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기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look for the main transport road of the ancient Silk Road and to add to the hidden history of silk, where little is known about the weaving technology of the beautiful silk of GoJoseon. The research was through the analysis of relics of empirical data and analyzed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books, papers, and photos of artifac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vestigates the environment of silk production for GoJoseon KyungGeu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ncient Silk Road and the East region. Second, examines the advanced weaving technology of KyungGeum in GoJose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is possible to infer the production period of silk in GoJoseon through jade silkworms from the Hongsan Dong-Yi culture of 4500 BC. KyungGeum pieces were excavated in Louran, Astana and Niya of the Xinjiang Autonomous Region and Noin-Ula of Mongolia, and the oldest KyungGeum was found in JoYang, one of the capitals of GoJoseon near Balhae Bay. KyungGeum was invented in the 11th century BCE here. It became the brocade and damask of the West, which were delivered through steppe road before the 5~6th century BCE. The production of KyungGeum was possible through the advanced loom which is GoJoseon's horizontal square 'Jewharu' loom combined with a high level of weaving skill. This can’t be made through the slant loom of China nor vertical loom of the West Asi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o continue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ancient silkroad.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고조선의 실크 직조 문화
    2.1. 홍산 배달문화에서 나온 옥잠(玉蠶)과 동물뼈바늘
    2.2. 근면 성실한 우리 선조 여성
    2.3. 고조선의 문화 예술 수준과 색채 중시
3. 실크와 실크로드
    3.1. 실크
    3.2. 실크로드
4. 실크로드와 고조선의 상관관계
    4.1. 세레스의 어원은 ‘신라’
    4.2. 고조선의 실크 생산
    4.3. 고조선 경금의 고도의 제직기술
Acknowledgement
REFERENCES
5. 결론 및 논의
저자
  • 김지수(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Ji-Su Kim
  • 나영주(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Young-Joo Na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