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양 국가지질공원 기반암류의 SHRIMP 저어콘 U-Pb 연령 KCI 등재

SHRIMP Zircon U-Pb Ages of Basement Rocks in the Danyang National Geo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4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단양 국가지질공원 남쪽에 분포하는 기반암에서 저어콘 U-Pb 연령측정을 수행하였다. 연령 측정은 2개의 시료에서 실시하였으며, 이들 시료는 우흑질과 우백질이 뚜렷이 구분되는 혼성암질 편마암으로 흑운모 ±규선석±석류석+장석+석영의 광물조합을 가진다. 함규선석 및 함석류석 편마암시료에서 각각 수집한 저어콘 결정들에 대해 고분해능 이차이온질량분석기(SHRIMP)를 사용하여 U-Pb 동위원소 성분비를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1870±10Ma (2σ)와 1863±6 Ma (2σ)의 변성 연령을 구하였다. 1.87~1.86 Ga의 변성 연령은 영남육괴 고원생대 고온-저압의 광역변성작용의 시기(1.87~1.85 Ga)와 일치한다. 저어콘 결정들의 상속핵 연령을 기반으로 두 시료에서 얻어진 최고 퇴적연령은 2.06 Ga로 혼성암질 편마암 모암의 퇴적시기는 2.06~1.87 Ga 사이일 것으로 추정된다.

We carried out the U-Pb age dating of zircon from basement rock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Danyang National Geopark. Two migmatitic gneisses composed of biotite±sillimanite±garnet+feldspar+ quartz were dated. Leucosomes in the sampl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ir melanosomes. The UPb isotopic compositions of zircon from sillimanite- and garnet-bearing migmatitic samples were measured using a secondary ion microprobe, yielding metamorphic ages, 1870±10 Ma (2σ)와 1863±6 Ma (2σ), respectively. 1.87~1.86 Ga metamorphic age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Paleoproterozoic low-P and high-T regional metamorphism (1.87~1.85 Ga) in the Yeongnam Massif. The maximum depositional age based upon the apparent 207Pb/206Pb ages of detrital zircon in the samples was estimated as 2.06 Ga, and thus sedimentation age of the protolith of the migmatitic gneisses ranges between 2.06 and 1.87 Ga.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지질 개요
분석 방법
시료 기재
분석 결과
토의 및 결론
REFRENCES
저자
  • 정원석(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Wonseok Cheong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한기운(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Giun Ha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태환(극지연구소 극지지구시스템연구부) | Taehwan Kim (Division of Polar Earth-System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 엄현우(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Hyun Woo Aum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윤섭(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Yoonsup Kim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