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I):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 특성 연구 KCI 등재

Assessment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from Andong Lake(I):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of Sediments from Andong D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4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의 안동댐 퇴적물에 대한 오염도 조사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안동댐 상류 40 km까지 약 5 km 간격으로 호수의 중간, 좌, 우지점에서 성층기와 전도기로 구분하여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일반 항목인 강열 감량, 총질소, 총인의 경우 오염도가 낮지만, 중금속의 경우 비소와 카드뮴의 오염도는 매우 높다. 지천 및 대조군에 비해 댐 내 퇴적물의 오염도가 높으며, 시료채취 시기별로는 성층기에 크 롬, 구리, 납의 농도가 높고, 순환기에 아연의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상하류의 위치에 따른 농도 차이 를 나타내는 중금속은 비소, 카드뮴, 망간, 아연이며 차이를 보이지 않는 항목은 크롬, 구리, 수은, 철, 납 등 이다.

In this study, pollu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Andong Dam sediments in the Nakdong River.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iddle,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lake up to 40km upstream of the Andong Dam at intervals of about 5km by stratification and turnover period. In the case of nutrients and total organics such as loss of ignition,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low, but heavy metals of arsenic and cadmium is very high. The contamination level of sediments in the dam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branch of river and the control group, and concentration of chromium, copper, and lead are higher in the stratification period, and that of zinc is higher in turnover period. Arsenic, cadmium, manganese, and zinc showed contamination variation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but chromium, copper, mercury, iron and lead didn’t show the vari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 방법
    시료채취
    분석방법
    퇴적물 오염기준
결과 및 고찰
    퇴적물의 광물 조성
    퇴적물의 화학적 특성
    함수율 및 완전연소가능량
    총질소 및 총인
    비소(As) 오염도
    카드뮴(Cd) 오염도
    크롬(Cr) 오염도
    구리(Cu) 오염도
    철(Fe) 오염도
    수은(Hg) 오염도
    망간(Mn) 오염도
    납(Pb) 오염도
    아연(Zn) 오염도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영훈(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Young Hu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박재충(수자원공사 안동권지사) | Jae Chung Park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신태천(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Tae Cheon Sh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정진(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Jeong Jin Kim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