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사부, 우산국 복속과 그 역사적 의미

Isabu, Subjugation of Usan-guk and its Historic Mea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500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20.16.0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서기 500년 왕위에 오른 지증왕은 왕의 칭호를 마립간에서 왕으로 바꾸고, 지방 행정구역을 주 · 군 체제로 정비하며, 국호를 ‘덕업일신(德業日新), 망라사방(網羅四方)’의 ‘신라(新羅)’로 정했다. 망라사방이란 신라의 국력을 사방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의미이다. 신라는 망라사방의 국가비전을 가지고 사방으로 영토를 확장했고, 특히 동해안으로 진출하면서 우산국과 충돌하였으나, 512년 우산국을 복속함으로서 동해의 제해 권을 확립하게 된다. 그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왜 관계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이사부(異斯夫)의 우산국 복속 기사를 가지고, ‘한국의 독도영유 권에 대한 역사적 권원(歷史的 權原)’을 주장한다. 역사적 권원이란 역사적으로 권리의 원천이 된다는 의미이다. 즉 이사부가 우산국을 신라의 영토에 편입했다는 것 (fact)이 한국영토라는 권리주장의 시작이며 증거라는 것이다. 우산국 복속에 성공한 이사부는 그 후 병부령이 되어 한강유역과 대가야 정벌을 주도했고, 국사를 편찬하는 등의 과업을 수행하며, 신라가 사방으로 발전하여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는데 지대한 업적을 남겼다. 결론적으로 이사부는 독도가 우리 영토라는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 인물이며, 남해의 이순신, 서해의 장보고와 함께 동해의 이사부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한국의 3대 해양영웅이다.

King Jijeung who ascended the throne in 500 AD changed title of the king from Maripgan to King, improved local administrative division to state · county system, and set country name to Deokeopilsin, Mangrasabang of Silla, in which Mangrasabang means Silla is expanding its power in all directions. Silla having its vision of Mangrasabang expanded its territory in all directions and as it landed at the Eastern Coast, it clashed with Usan-guk. However, it subjugated Usan-guk in 512 and secured the command of the East Sea. This fact is found in the Wa-related entries in the Silla-bongi of the 《Samguk Sagi》. Currently, Korea claims ‘Historic Title of Korea’s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based on the entries about Isabu’s subjugation of Usan-guk. Historic title means it can be the source of the right historically.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Isabu incorporated Usan-guk into Silla is the proof for the claim of the right that it is Korean territory. Isabu who successfully subjugated Usan-guk gained supreme military power since then, destroyed Han River region and Daegaya, accomplished tasks including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 expanded Silla in all directions, and resulted in the great accomplishment to the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conclusion, Isabu is the figure who ascertains historical fact that he incorporated Dokdo into our territory and is one of the Korea’s three ocean heroes as Isabu of the East Sea together with Yi Sun-sin of the South Sea and Jang Bogo of the West Sea.

목차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Ⅱ. 지증왕의 즉위와 체제 개편
Ⅲ. 동해안 진출과 실직주의 설치
Ⅳ. 동해의 제해권 확보와 왜
Ⅴ. 우산국 정복과 이사부
Ⅵ. 맺음말
❚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사학과) | Son Seung Che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