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시각차단연습과 시각허용연습에 따른 수행지각거리와 실제수행거리의 정확성을 비교함으로써 신체적 중재로서 시각차단연습의 잠재적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방법: 골프퍼팅 경험이 없는 36명의 남자대학생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시각차단집단, 시각허용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사전검사에서 참여자들은 1m 간격의 각 거리(1-15m)에서 1회씩 총 15회의 퍼팅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블록 1, 블록 2, 그리고 블록 3에서는 각각 거리별로 2회씩 총 90회의 퍼팅을 수행하였으며, 사후검사는 블록수행 직후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수행지각거리와 실제수행거리의 정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절대오차 값이 계산되었으며, 집단 (3)과 측정시점 (5)의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시각차단집단과 시각허용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수행지각거리와 실제수행거리의 정확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처치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시각차단연습과 시각허용연습이 지각판단 및 기능수행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시각허용연습과의 병행을 위한 효과적인 신체적 중재로서 시각차단훈련의 잠재적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visual occlusion training as a physical intervention by comparing the accuracy of perceptual distance and actual performance distance according to visual occlusion training and visual allowance training. Methods: 36 male college student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in golf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visual occlusion training group, visual allowance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pre-test, participants performed a total of 15 putts once at each distance (1-15m). In the block 1, 2, 3, a total of 90 putts were performed twice for each distance in each block. After the block practice, the post-test was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test. The absolute error value for putting performance was used to analyze the accuracy of perceptual distance and actual performance distance. Results: Visual occlusion training and visual allowance training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the accuracy of perceptual and actual performance distanc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aining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visual occlusion and visual allowance training can enhance perceptual judgment and skill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visual occlusion training as an effective physical intervention for combining with visual allowance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