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Current Status of Opportunities for Rice Cultivation in Uganda KCI 등재

우간다 벼 재배 현황 및 발전 가능성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9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우간다에서 쌀은 식량, 농가소득 및 안보를 위한 전략적 작물로 목화, 커피, 옥수수에 이어 우간다의 농업 전략 계획 (ASSP)에서 우선순위12개 작물 중 4번째로 선정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작물이다. 쌀은 생산 측면에서 옥수수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곡물이다. 최근 우간다에서는 쌀 소비가 빠르게 증가함과 동시에 매년 쌀 수입 또한 비례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쌀의 소비 증가는 우간다 쌀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소규모 재배 농민들에게 엄청난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쌀은 다른 곡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높은 금액으로 판매되고 이익 또한 높기 때문에 현금 작물로서 벼 재배 면적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벼 생산성은 여전히 낮은 수준인데, 이는 주로 수확량이 적은 쌀 품종의 사용, 개선 된 품종의 종자에 대한 농부의 접근 제한, 낙후된 재배 기술, 비료 및 농약 사용이 매우 저조하기 때문이다. 우간다의 쌀 재배 현황과 여건에 대하여 조사한 바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쌀 생산을 위한 기후적 여건: 연평균 강수량은 1,180 mm 정도이고 연평균 기온은18도에서 35도 사이로 벼 재배에 좋은 기후적 여건이다. 2. 주요 재배 지역: 우간다에는 3곳의 주요 벼 재배 중심지역이 있다. 동쪽 지역은 주로 관개시설과 강수에 의존하는 밭 벼를 재배하고 있으며, 북쪽과 중서부 지역은 논벼를 주로 재배하고 있다. 우간다 쌀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소규모 재배 농민들은 주로 위의 3지역에서 벼를 생산하고 있다. 3. 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제한적 관개시설과 기계화, 그리고 양질의 종자 부족과 낮은 수준의 농업기술 등이 낮은 생산성의 주요 요소들이며, 수확 후 관리 기술과 저 장 시설 부족, 충분하지 못한 재정적 지원 그리고 병해충 등의 요소들이 있다. 4. 주요 벼 품종: 우간다 현지에서 주로 재배되는 벼 품종은 9종으로서 다음과 같다. Namche, Komboka, Kaiso, Wita 9, Basmat 370, IR 64, Supa, Buyu 및 NERICA 품종이다. 5. 농촌진흥청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KAFACI)를 통해 높은 생산성과 질병 저항성을 목적으로 개발 후 육종 된 두 한국 품종(KAF-172-67과 KAF-304-287)은 우간다에서 등록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opportunities in the Ugandan rice sector in order to form informed decisions for future investment and support for the farmers. The Government of Uganda has prioritised rice as a strategic commodity for the national economy. Uganda produces up to 350,000 metric ton (MT) of rice annually, and has set a target to produce 680,000 MT by 2020. A national rice development strategy and a robust rice stakeholder platform have been put in place in order to guide potential investors. Despite the already-existing economic opportunities for the smallholder farmers who participate in producing more than 90% of the rice output in Uganda, productivity still remains low. This is primarily due to the frequent use of low-yielding rice varieties, limited farmer access to the seed of improved varieties and other yield-enhancing inputs, the limited usage of time and labour-saving technologies, and limited knowledge of good agronomic practices. There are three major high rainfall areas in the Northern,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country. The mean annual rainfall is estimated at 1,180 mm, and the mean annual temperature is within the range of 18 to 35oC. Nine major varieties of rice, including Namche, Komboka, Kaiso, Wita 9, Basmat 370, IR 64, Supa, Buyu, and NERICA are being cultivated in Uganda. The two Korean rice varieties, such as KAF- 172-67 and KAF-304-287 strains, which were developed through a 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project, will also be registered. This will help to increase domestic rice production, stabilize domestic prices, and make rice more affordable for consumers.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Uganda’s Climatic Conditions for Rice Production
    Major Rice Production Areas and Systems in Uganda
    Factors Affecting Rice Growing and Productivity inUganda
    Major Rice Varieties Grown in Uganda
    Korean Rice Varieties in Uganda
    Possible Investment Opportunities
    Potential Local and Regional Markets for RiceGrown in Uganda
CONCLUSION
적 요
REFERENCES
저자
  • Soonsung Hong(농촌진흥청 국외농업기술과) | 홍순성
  • Seongsoo Hwang(농촌진흥청 국외농업기술과) | 황성수
  • Jimmy Lamo(우간다농업연구청) | 지미라모
  • Doreen Nampamya(KOPIA 우간다센터) | 남팜야도린
  • Tae-Seon Park(KOPIA 우간다센터) | 박태선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