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s of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nd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ers: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preschooler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9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전국상담복지연구 (National Counseling Welfare Research)
전국상담복지학회 (National Counseling Welfare Academy)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능력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를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하기 위하여 만 3세부터 만5세 유아 501명과 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 사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과 사회적 능력 사이에서 교사·유아관계는 부분매개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관계와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이 교사·유아관계를 경유하여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자아존중감이 조절하는 조건부간접효과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유아관계의 중요함을 증명하였고 이때 교사·유아관계를 유아의 자아 존중감으로 조절될 때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동시에 규명 하였다는데 있다.

This study is the targ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ocial skills - children relationships mediating effect and self-esteem regulation mediated effects verification to just only from 3 years old 5 years old children 501 names and teachers 49 people to the It was targe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major variables,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Second,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partly mediated, or indir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ir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infant relationship and social ability. Fourth,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that self-esteem regulates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on social ability through teacher-infant relationship was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prov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teacher-infant relationship as a way to enhance th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at the same time, it proved that it is more effective when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is controlled by infant's self-esteem. It is.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주요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2. 변인 간 상관관계
    3.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
    4. 교사-유아관계와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5.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Ⅳ.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조성자(칼빈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 윤미선(에덴어린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