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mi-Elderly Preparation for Retirement on Successful Ag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0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전국상담복지연구 (National Counseling Welfare Research)
전국상담복지학회 (National Counseling Welfare Academy)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 노인의 노후 준비도 관련 변인 분석을 위하여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성공적 노화의 효율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아래와 같다. 첫째, 노후 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하위요인별 관련 검증 결과, 신체적인 준비도, 정서적인 준비도, 경제적인 준비도, 사회적인 준비도는 성공적 노화와 정(+)의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후 준비도가 매개 변인인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가족 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정(+)의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후 준비도가 높을수록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매개 변인인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요인과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와의 영향 관계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 매개 변인 모두 성공적 노화와(+)의 영향 관계가 입증되었다. 즉,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 성공적 노화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검증으로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도와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매개 변인인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요인 모두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retirement readines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on successful aging, and to increase the improvement of successful aging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them. s The main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et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s of retirement readiness on successful aging, it was found that physical readiness, emotional readiness, economic readiness, and social readines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retirement readi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variables. These results can be seen that successful aging increases when the retirement readiness is high. Second, in the effects of retirement readiness on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retirement readi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retirement readiness, the higher th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ird, in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successful aging, it was found that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ccessful aging increases when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re high. Finally, it was found that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readiness and successful aging.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노후준비도
    2. 가족탄력성
    3. 사회적 지지
    4. 성공적 노화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조사도구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상관관계 분석
    3. 기술통계 분석
    4. 연구가설 검증
Ⅴ. 결 론
    1. 결과요약
    2.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이재풍(칼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지모(전국사회복지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