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교양교육 질적 수준 분석 연구 KCI 등재

Analysis of the Quality Level on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273
  • DOIhttps://doi.org/10.26734/JFE.2021.11.02.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 대학 생활 및 시설의 우수성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 교양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 상은 경기도 소재의 A대학 재학생 756명이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의 교양교 육 중요성은 높게 인식되고 있고, 전반적인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적 경험은 보통 이상의 평균을 보였으나 수업에서 고차원 능력을 강조하는 하위영역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 성과에서 의사소통능력이나 대인관계능력은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 생활은 평균이 보통 미만으로 나타났고, 교수와의 교류가 학습자 간의 교류보다 더 빈번하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시설의 우수성에서 사이버교육시스템의 우수성은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 며,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정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 및 시설의 우수성이 교양교육의 전반적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생 교양교육의 설계와 운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gener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general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 learning outcomes, campus life, and facilities. For this study, data from 756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and overall satisfaction on gener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Second, educational experience was above average, but the average for high-level abilities in class was relatively low. Third, the average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relatively high in learning outcomes. Fourth, campus life was below average, and it was recognized that exchanges with professors were less frequent than exchanges between students. Fifth, perception of campus facilities, cyber education system was evaluated the lowest.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was positively high, and educational experience, learning outcomes, and campus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general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or as a reference for related policies.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2. 교양교육의 교육적 경험
    3. 교양교육의 학습 성과
    4. 교양교육 관련 대학 생활
    5. 대학 시설의 우수성
    6.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7. 연구변인들 간의 중다회귀분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손한결(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 Han-gyeol Sohn 주저자
  • 손복은(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 Bok-eun S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