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세균열이 합천지역 쥬라기 화강암의 압열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Microcrack on Brazilian Tensile Strength of Jurassic Granite in Hapch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5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① 미세균열의 길이(N=230), ② 미세균열의 간격(N=150) 및 ③ 압열인장강도(N=30)를 이용하여 쥬라기의 합천화강암에서 발달된 여섯 결(R1~H2)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섯 결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이 들 세 인자에 대한 18개의 누적그래프를 상호 대비하였다. 분석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9개 계급구간으로 구분한 압열인장강도값(kg/cm2)의 분포율(%)은 60~70(3.3) < 140~150(6.7) < 100~110ㆍ 110~120(10.0) < 90~100(13.3) < 80~90(16.7) < 120~130ㆍ130~140(20.0)의 순으로 증가한다. 각 계급구간의 빈도수에 따른 강도의 분포곡선은 이봉 분포를 보여 준다. 둘째, 길이, 간격 및 인장강도에 대한 그래프를 H2 < H1 < G2 < G1 < R2 < R1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간격과 길이에 대한 두 그래프 사이의 지수차(λS-λL, Δλ) 는 H2(-1.59) < H1(-0.02) < G2(0.25) < G1(0.63) < R2(1.59) < R1(1.96)(2 < 1)의 순으로 증가한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상기한 지수차의 증가와 함께 인장강도에 대한 여섯 그래프는 점차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직의 균일도를 지시하는 인장강도에 대한 그래프의 음의 기울기(a)는 3번 결((H1+H2)/2, 0.116) < 2번 결 ((G1+G2)/2, 0.125) < 1번 결((R1+R2)/2, 0.191)의 순으로 증가한다. 셋째, 각 결(R1ㆍR2(1번 결), G1ㆍG2 (2번 결), H1ㆍH2(3번 결))을 구성하는 두 방향에 대한 그래프 사이의 배열순을 비교하였다. 길이와 간격에 대한 두 그래프의 배열순은 상호 역순이다. 간격과 인장강도에 대한 두 그래프는 배열순에서 서로 일관성이 있다. 길이와 간격에 대한 지수차(ΔλL 및 ΔλS)는 1번 결(R, -0.08) < 2번 결(G, 0.14) < 3번 결(H, 0.75) 및 3번 결(H, 0.16) < 2번 결(G, 0.23) < 1번 결(R, 0.45)의 순으로 각각 증가한다. 넷째, 미세균열의 길이, 미세 균열의 간격 및 인장강도의 분포 특성을 보여 주는 여섯 그래프에 대한 종합도를 작성하였다. 길이의 범위에 따라, 여섯 그래프는 G2 < H2 < H1 < R2 < G1 < R1(<7mm) 및 G2 < H1 < H2 < R2 < G1 < R1(≤2.38 mm)의 순을 보여 준다. 간격에 대한 여섯 그래프는 누적 빈도수 12 및 간격 0.53mm에 해당하는 지점 부근에서 병목구간을 형성하여 서로 교차한다. 다섯째, 여섯 결을 대변하는 각 파라미터의 여섯 값을 증 가 및 감소하는 순으로 배열하였다. 길이와 관련된 8개 파라미터 중에서, 총 길이(Lt) 및 그래프(≤2.38 mm)는 배열순에서 상호 부합한다. 간격과 관련된 7개 파라미터 중에서, 간격의 빈도수(N), 평균 간격(Sm) 및 그래프 (≤5 mm)는 배열순에서 상호 일관성이 있다. 배열순의 측면에서, 간격에 대한 상기 세 파라미터의 값은 그룹 E에 속하는 최대인장강도와 일관성이 있다. 표 8에서와 같이, 이들 파라미터 값의 배열순은 여섯 결 및 세 채석면에 대한 사전 인식에 유용하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rock cleavages(R1~H2) in Jurassic Hapcheon granite were analyzed using the distribution of ① microcrack lengths(N=230), ② microcrack spacings(N=150) and ③ Brazilian tensile strengths(N=30). The 18 cumulative graphs for these three factors measured in the directions parallel to the six rock cleavages were mutually contrast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ratio(%) of Brazilian tensile strength values(kg/cm2) divided into nine class intervals increases in the order of 60~70(3.3) < 140~150(6.7) < 100~110ㆍ110~120(10.0) < 90~100(13.3) < 80~90(16.7) < 120~130ㆍ130~140(20.0). The distribution curve of strength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ch class interval shows a bimodal distribution. Second, the graphs for the length, spacing and tensile strength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H2 < H1 < G2 < G1 < R2 < R1. Exponent difference(λS-λL, Δλ) between the two graphs for the spacing and length increases in the order of H2(-1.59) < H1(-0.02) < G2(0.25) < G1(0.63) < R2(1.59) < R1(1.96)(2 < 1). From the related chart, the six graphs for the tensile strength move gradually to the left direc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above exponent difference. The negative slope(a) of the graphs for the tensile strength, suggesting a degree of uniformity of the texture, increases in the order of H((H1+H2)/2, 0.116) < G((G1+G2)/2, 0.125) < R((R1+R2)/2, 0.191). Third, the order of arrangement between the two graphs for the two directions that make up each rock cleavage(R1ㆍR2(R), G1ㆍG2(G), H1ㆍH2(H)) were compared.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two graphs for the length and spacing is reverse order with each other. The two graphs for the spacing and tensile strength is mutually consistent in the order of arrangement. The exponent differences(ΔλL and ΔλS) for the length and spacing increase in the order of rift(R, -0.08) < grain(G, 0.14) < hardway(H, 0.75) and hardway(H, 0.16) < grain(G, 0.23) < rift(R, 0.45), respectively. Fourth, the general chart for the six graphs show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crocrack lengths, microcrack spacings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s were made. According to the range of length, the six graphs show orders of G2 < H2 < H1 < R2 < G1 < R1(< 7 mm) and G2 < H1 < H2 < R2 < G1 < R1(≤2.38 mm). The six graphs for the spacing intersect each other by forming a bottleneck near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umulative frequency of 12 and the spacing of 0.53 mm. Fifth, the six values of each parameter representing the six rock cleavage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Among the 8 parameters related to the length, the total length(Lt) and the graph(≤2.38 mm) are mutually congruent in order of arrangement. Among the 7 parameters related to the spacing, the frequency of spacing(N), the mean spacing(Sm) and the graph (≤5 mm) are mutually consistent in order of arrangement. In terms of order of arrangement, the values of the above three parameters for the spacing are consistent with the maximum tensile strengths belonging to group E. As shown in Table 8,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se parameter values is useful for prior recognition of the six rock cleavages and the three quarrying plan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미세균열의 분석방법
결의 모식도
여섯 방향의 미세균열에 대한파라미터의 값
    길이와 간격
여섯 방향의 압열인장강도
    강도의 측정 및 결과
    9개 계급구간의 빈도율
    압열인장강도의 분포형
미세균열과 압열인장강도의여섯 그래프
두 지수 직선 사이의 지수차와그래프의 배열순
    여섯 그래프의 분포 형태
    지수차(λS-λL, Dλ)
    지수차와 압열인장강도의 그래프 사이의 대비
세 면의 그래프 형태
    1번 면(G1 · H1)
    2번 면(R1 · H2)
    3번 면(R2 · G2)
세 결의 그래프 형태
    1번 결(R1 · R2)
    2번 결(G1 · G2)
    3번 결(H1 · H2)
여섯 방향의 미세균열 및압열인장강도 그래프의 종합
여섯 방향의 19개 파라미터 값 사이의배열순 종합
    종 방향
    횡 방향
토 론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덕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Deok-Won Park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Corresponding author
  • 김경수(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Kyeong-Su Kim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