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승만의 권력 장악 과정에 관한 연구 : 대중동원 및 반공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Process of Seizing Power by Syngman Rhee : By Focusing on the Roles of Public Mobilization and Anti Communist Ide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6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해방 이후부터 제1공화국 시기까지 이승만의 권력 기반이 된 주요 변수를 중심으로 우익 정치세력 내에서 그의 권력 장악 과정을 살펴보았다. 우익 정치세력 내에서의 권력의 장악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하였으나 이 중 대중동원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반공 이데올로기를 주요 변수로 삼아 설명하였다. 이승만은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정치 적 힘 겨룸에 우익 대중단체와 경찰, 군부, 청년단체 등의 대중을 적극적 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이승만은 일제의 귀속재산 불하와 미국의 무상원 조 등을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측근들을 중심으로 하는 충성과 시혜로 얽 힌 후원-피 후원의 구조를 만들고, 농지개혁을 단행하여 농민을 자신의 지지 기반으로 끌어들여 그의 통치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승만은 '반공'과 '북진통일'을 앞세운 반공 이데올로기를 지배 이데올 로기도 활용하였다. 반공 이데올로기는 실제 대북용이 아니라 대내용이 었다. 북진통일 운동은 주민들을 하나가 되게 하여 철통 같은 반공 태세 를 강화하고, 그것의 영도자인 자신의 권력에 복종하게 했다. 권력 장악 과정에서 나타난 부산 정치파동과 발췌개헌은 이승만이 1960년까지 장 기 집권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제한된 구조적 틀 속에서 이승만이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대중동원과 반공 이데올로기라는 두 요소를 잘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seizing power within the right-wing political forces, by focusing on the main variables that became the power base of Syngman Rhee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period of the First Republic of Korea. Various variables had an effect on the seizure of power within the right-wing political forces. For this study, the mobilization of the masses and the anti-communist ideology that served as main variables were dealt with. In the process of seizing power, Syngman Rhee actively used the masses of right-wing public groups, the police, the military, and youth groups to compete for political power. In particular, Syngman Rhee strategically used the disposal of Japanese vested properties and free aid from the U.S. to create a sponsorship-sponsored structure centered on loyal and benevolent aides. He also implemented farmland reform to attract farmers as his base of support and took advantage of them as a means of his governance. Syngman Rhee also used anti-communist ideology based on 'Anti-Communist' and 'Northern Unification' as the ruling ideology. The Anti-Communist Ideology was not intended for North Korea, but rather internally-directed. Northern Unification Movement made the residents put together to strengthen their impenetrable anti-communist stance, forcing them to obey his own power who was a leader. Busan's political turmoil an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shown in the process of taking over power laid the foundation for Rhee Syng-man's long-term seizure of power until 1960. The reason why Rhee Syng-man was able to take power under a limited structural framework was that he made a success in utilizing two factors; public mobilization and anti-communist ideology.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초기 정치 노선과 정치 세력 통합운동
III. 권력 기반 조성 : 대중동원
    1. 우익 대중단체
    2. 경찰, 군부, 청년단체
    3. 귀속재산(歸屬財産) 불하(拂下)와 미국의 무상 원조
    4. 농지개혁을 통한 농민의 지지기반 확대
IV. 권력 기반의 완성: 반공 이데올로기
    1. 제주 4․3 사건
    2. 반민족 행위 특별조사위원회의 와해(瓦解)
    3. 부산 정치파동과 발췌개헌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한웅(제주대학교) | Jung, Han-Woong (Je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