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소비자들의 쇠고기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한우 소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우와 기타 수입국가별 쇠고기에 대한 소비 대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요인 분석을 통해 한우의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혼합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원산지별로 쇠고기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의 대부분은 개인특성변수만을 고려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선택특정변수도 고려하였다. 개인특정변수로는 나이, 소득 등과 같이 종속변수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변수이며, 선택특정변수의 경우에는 반대로 종속변수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볼 때, 나이, 소득, 외국 주거 여부 등과 같은 개인특정변수들의 영향은 선행연구들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선택특정변수들의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맛, 건강, 품질, 가격 등의 순으로 원산지별 쇠고기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우와의 대체 정도는 호주산 쇠고기, 미국산 쇠고기, 국내 육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 on Hanwoo and other beefs. Through this, this study wants to find ways to boost consumption of Hanwoo.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ption substitution between Hanwoo and other beefs including imported beefs. Ultimately, we need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Hanwoo industry. This study uses a Mixed logit model that allows to find factors affecting preference for different types of beef. Most prior studies used only individual specific variables, but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selected specific variables. Individual specific variables, such as age and income, have characteristics that do not change depending on the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but the selected specific variables vary with the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 analysis on the individual specific variables such as age, income, foreign residence, etc i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The analysis on the selected specific variables shows that the order of key factors affecting beef preferences are taste, health, quality and price. Based on the marginal effects, the preference on Hanwoo is greatly affected by Australian beef, the U.S. beef, and Yukwoo beef in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