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Impact of Online Class i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Optometry Students KCI 등재

안경광학과 온라인 수업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6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코로나 19로 인하여 전면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안경광학과 재학생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질, 수업의 환경, 성적에 미치는 요인이 학습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20년 1월 18일부터 1월 29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20명 중 총 112명(남성 61명, 여성 51명) 재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에 관련된 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온라인 수업의 장점으로는 반복수강이 31명(27.7%)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석되었으며, 단점으로는 집중력 저하가 52명(46.4%)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년에 따른 수업의 질(p=0.047)과 온라인 수업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p=0.011)은 유의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학습자의 수업의 질, 온라인 수업의 환경, 성적에 미치는 요인, 학습자의 만족도는 각 변수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수업환경으로 분석되었다(p=0.002).
결론 :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의 환경적인 요소가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의 화질, 음향, LMS 시스템 및 수업에 대한 공지 등 수업의 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국의 안경광학 학생의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를 대표할 수는 없지만, 코로 나19로 온라인 수업을 지속해야하는 상황에서 환경적인 요소도 고려하여 학습만족도를 높여야 하겠다.

Purpose : Due to COVID-19, the institution has made all its learning remote. He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quality of online learning, learning environment and factors impacting grades impact student satisfaction among optometry students.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18 January, 2020 until 29 January of the same year,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2 current student responses out of 120 students (61 males, 51 females).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for online learning and other factors were analyzed,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scertain the causative influences of these factors. SPSS was used as the analysis program.
Results :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the ability to repeat learning (31 responses, 27.7%). The biggest disadvantage, on the other hand, was loss of focus (52 responses, 46.4%). The quality of lessons depending on the year of study and the impact of online lessons on grades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p=0.01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essons, environment of online learning, factors impacting grade and student satisfaction (p<0.001), and it was found that lesson environment had the biggest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p=0.002).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study has identified learning environment as a significant factor in student satisfaction. Therefore, an improvement in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improving the quality of sound and video of lectures, LMS system and notifications will be needed to ensure an optimum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In addition, although it can‘t represent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for optometry students nationwid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learning satisfaction by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in a situation where online classes must be continued due to COVID-19.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일반적인 특성
    2. 온라인 수업
    3. 성별과 학년에 따른 분류
    4. 상관관계
    5.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Ji-Woong Lim(경동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안경광학과) | 임지웅
  • Dae-Jong Kim(경동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안경광학전공) | 김대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