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소재와 BC의 소프트렌즈 착용 시, 타각적 굴절 검사에 미치는 영향
목적 : 재질과 곡률반경이 다른 소프트렌즈 렌즈 착용 후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 기기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곡률 평균 7.77±0.24 mm인 20명(평균연령= 24.73±2.5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BC 8.5mm 와 9.0 mm의 BC를 가진 하이드로겔렌즈 그리고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 총 4가지의 동일도수의 렌즈(-3.00 D)를 참여자들이 무작위 순서로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렌즈 착용 전과 착용 중 자동굴절검사계를 이용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 자동굴절계 및 각막지형도 측정한 굴절력의 변화량의 4종의 렌즈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자동굴절계 p=0.691, 각막지형도 p=0.438). 재질별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하이드로겔 0.05±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12±0.04 D(p=0.327), 베이스커브 따른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BC 9.0 mm은 0.06±0.05D, BC 8.5 mm 인 경우 0.11±0.05 D(p=0.482) 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재질별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하이드로겔 0.30±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38±0.05 D(p=0.298), BC에 따른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BC 9.0 mm은 0.36±0.04 D, BC 8.5 mm는 0.32±0.06 D,(p=0.482)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537).
결론 : 렌즈의 재질과 베이스커브에 따른 렌즈 착용전 후 자동굴절계를 통한 덧댐굴절검사 측정은 차이가 없지만 각막지형도상에서는 0.25 D 이상의 변화가 측정됨으로, 콘택트렌즈 처방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시 된다.
Purpose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soft contact lens material & Base curve on over-refraction using ARK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Methods : 20 participants with mean corneal curvature of 7.77±0.24 mm (mean age = 24.73 ±2.52 years) volunterred. Each participant worn –3.00 D of hydrogel contact lenses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with BC 9.0 mm & 8.5 mm in random order. The refraction (KR-8100P)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Oculus Keratograph 5M) were conducted and difference of before and while wearing the lenses were analysed after –3.00 D compensation.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RK and topography measurmenet among 4 lenses (ARK p=0.691, Topography p=0.438). Differences by material were 0.05±0.05 for hydrogel and 0.12±0.04 for silicone hydrogel (p=0.327). Difference by BC were 0.06±0.05 for BC 9.0 and 0.11±0.05 for BC 8.5 (p=0.482). For Topography measurement, differences by material were 0.30±0.05 D for hydrogel and 0.38±0.05 D for silicone hydrogel (p=0.298). Difference by BC were 0.36±0.04 D or BC 9.0 and 0.32±0.06 D for BC 8.5 (p=0.537).
Conclusion : Material and BC did not make any difference on the objective refraction, however corneal topography showed more than 0.25 D map changes, therefore cautious approaches needs to be made when prescribing contact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