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Wearing Different Soft Contact Lens Material & Base Curve on the Objective Refraction KCI 등재

다른 소재와 BC의 소프트렌즈 착용 시, 타각적 굴절 검사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6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재질과 곡률반경이 다른 소프트렌즈 렌즈 착용 후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 기기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곡률 평균 7.77±0.24 mm인 20명(평균연령= 24.73±2.5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BC 8.5mm 와 9.0 mm의 BC를 가진 하이드로겔렌즈 그리고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 총 4가지의 동일도수의 렌즈(-3.00 D)를 참여자들이 무작위 순서로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렌즈 착용 전과 착용 중 자동굴절검사계를 이용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 자동굴절계 및 각막지형도 측정한 굴절력의 변화량의 4종의 렌즈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자동굴절계 p=0.691, 각막지형도 p=0.438). 재질별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하이드로겔 0.05±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12±0.04 D(p=0.327), 베이스커브 따른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BC 9.0 mm은 0.06±0.05D, BC 8.5 mm 인 경우 0.11±0.05 D(p=0.482) 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재질별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하이드로겔 0.30±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38±0.05 D(p=0.298), BC에 따른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BC 9.0 mm은 0.36±0.04 D, BC 8.5 mm는 0.32±0.06 D,(p=0.482)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537).
결론 : 렌즈의 재질과 베이스커브에 따른 렌즈 착용전 후 자동굴절계를 통한 덧댐굴절검사 측정은 차이가 없지만 각막지형도상에서는 0.25 D 이상의 변화가 측정됨으로, 콘택트렌즈 처방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시 된다.

Purpose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soft contact lens material & Base curve on over-refraction using ARK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Methods : 20 participants with mean corneal curvature of 7.77±0.24 mm (mean age = 24.73 ±2.52 years) volunterred. Each participant worn –3.00 D of hydrogel contact lenses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with BC 9.0 mm & 8.5 mm in random order. The refraction (KR-8100P)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Oculus Keratograph 5M) were conducted and difference of before and while wearing the lenses were analysed after –3.00 D compensation.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RK and topography measurmenet among 4 lenses (ARK p=0.691, Topography p=0.438). Differences by material were 0.05±0.05 for hydrogel and 0.12±0.04 for silicone hydrogel (p=0.327). Difference by BC were 0.06±0.05 for BC 9.0 and 0.11±0.05 for BC 8.5 (p=0.482). For Topography measurement, differences by material were 0.30±0.05 D for hydrogel and 0.38±0.05 D for silicone hydrogel (p=0.298). Difference by BC were 0.36±0.04 D or BC 9.0 and 0.32±0.06 D for BC 8.5 (p=0.537).
Conclusion : Material and BC did not make any difference on the objective refraction, however corneal topography showed more than 0.25 D map changes, therefore cautious approaches needs to be made when prescribing contact len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 과
    1.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굴절력 변화량
    2.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렌즈 재질 차이에 따른굴절력 변화
    3.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BC 차이에 따른 굴절력 변화
    4. 각막지형도 측정을 통한 굴절력 변화
    5. 각막지형도 측정을 통한 렌즈 재질간 굴절력 변화
    6. 각막지형도 측정을 통한 서로 다른 BC 굴절력 변화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Yee-Rin Jung(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 정예린
  • Byoung-Sun Chu(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추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