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의 환경 프로파일 및 오이 생장 평가 KCI 등재

Profile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ing and Evaluation on Growth of Cucumber Seedl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7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기후변화로 인하여 이상 기상이 잦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어 사계절 균일한 규격의 채소 접목묘를 생산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은 사계절 외부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모종을 생산할 수 있어 공정육묘장에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의 환경 프로파일을 위하여 광량(수직 분포; 광원으로부터의 거리 255, 205 및 105mm, 수평 분포; 150 × 150mm 간격으로 총 45점), 광질, 기온 및 상대습도(수직 분포; 지면으로부터 615, 980, 1,345 및 1,710mm, 총 12개 지점)에 대하여 프로파일을 하였다. 오이 육묘 및 환경 프로파일 기간 육묘 모듈의 광량은 150μmol·m -2 ·s -1 , 일장은 16/8h, 기온은 25/20℃ 및 상대습도는 70/85%로 설정하였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이 균일한 모종을 생산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조은백다다기’ 오이를 파종 후 8일에 생장을 조사하였다(n=20). 육묘 모듈의 광량은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255mm였을 때 167.2 ± 35.7였으며 설정치와 유사하였다.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진 곳에서 광량은 각각 11과 23% 증가하였으나, 표준편차가 1.8배 증가하였다. 인공 광원의 적색광/근적색광의 비율은 3.6이었다. 지면으로부터 615, 980, 1345 및 1710mm 떨어진 곳에서 육묘 모듈의 주/야 기온은 각각 24.7/19.5, 24.6/19.5, 24.7/19.4 및 24.7/19.6℃였다. 육묘 모듈의 높이에 의한 위치별 기온의 차이는 없었으나, 주/ 야 기온의 설정 값과는 각각 0.3 및 0.5℃의 차이는 있었다. 육묘 모듈의 상대습도도 위치별로 차이가 없었으며(71/84%), 상대습도의 설정값과 비교해도 1%의 차이로 매우 정밀하게 제어되었다. 파종 8일 후 오이 모종의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은 각각 4.1 ± 0.1cm, 24.1 ± 3.7cm 2 , 0.7 ± 0.13g 및 0.05 ± 0.008g이었으며, 초장의 변이 계수가 약 2.4%이하로 매우 균일한 오이 모종을 생산하였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모종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 을 수직· 수평으로 프로파일하여 분석하였을 때 기온 및 상대 습도는 매우 정밀하고 정확하게 제어되었으며, 광량 및 광질도 오이 모종을 생산하기에 충분히 적절 하였다. 본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을 보급한다면, 연중 균일한 우량 접목묘 생산을 위한 접수· 대목을 육묘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Due to the climate change such as high temperature in summer and low sunlight in winter, vegetable seedling growers have been facing difficulties to produce uniform seedlings in all four seasons. A plant factory with an artificial lighting (PFAL) w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ol in that it can control environment conditions and produce uniform seedlings without outside weather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of environment parameters, such as light uniformity, temperature and the relative humidity and uniformity of seedlings cultivated in a PFAL to evaluate plant factory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with an artificial lighting. Cucumber seedlings were grown in a PFAL at the light intensity 250 μmol·m -2 ·s -1 , the photoperiod 16/8h, the temperature 25/2 0℃ and the relative humidity 70/85%. In the light intensity uniformity, as closer to the light source from 255 to 105mm, the amount of light increased by 11 and 23%, respectively, but the standard deviation increased by 1.8 times. For the temperature and the relative humidity by four different height positions (615, 980, 1,345, 1,710 mm distance from the floor), temperature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t each location, 24.7/19.5, 24.6/19.5, 24.7/19.4 and 24.7/19.6°C, respectively. Also, the relative did not differ by locations (71/84%). Additionally, cucumber seedling characteristics of plant height, leaf area,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cucumber seedlings 8 days after sowing showed highly uniform quality, 4.1 ± 0.1 cm, 24.1 ± 3.7 cm 2 , 0.7 ± 0.13 g and 0.05 ± 0.008 g,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environment parameter profiling and cucumber seedling uniformity, vegetable seedling production in a PFAL can be a promise tool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 제원
    2.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의 환경프로파일 방법
    3.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오이 생장 검증
    4. 통계 분석
결과 및 고찰
    1.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의 환경프로파일
    2.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오이 접수 생장 실증
결 론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안세웅(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ewoong An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 이혜진(경북대학교 대학원 원예과학과) | Hye Jin Lee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심하선(경북대학교 대학원 원예과학과) | Ha Seon Sim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안수란(경북대학교 대학원 원예과학과) | Su Ran Ahn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성태(한국과기산업) | Sung Tae Kim (GAOOZ)
  • 김성겸(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Sung Kyeom Kim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al & Lif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