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losser의 과학 발문 분류 체계 적용의 제한점 탐색 KCI 등재

Exploring Limitations in Applying Blosser’s Question Category System for Sc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8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국내 과학 교육 발문 연구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Blosser 발문 분류 체계의 제한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교사로 참여한 소그룹 프로그램(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 중, 총 30여 시간에 걸친 수업 대화 과정을 분석했다. Blosser (1973)의 분류 체계에 따라 분류할 때 열린 발문과 닫힌 발문 등의 구분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같은 내용의 발문이라도 맥락에 따라 다른 종류의 발문으로 분류가 되기도 했고, 적절한 분류 구분을 찾기 어려운 발문도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사고력 향상이나 수업 참여도에 상위수준 발문(열린 발문)이 하위수준 발문(닫힌 발문)보다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었다. 발문 전에 교사가 어떤 정보를 제공했는지에 따라 발문의 효과가 달라졌으며, 이전의 발문이 다음에 이어진 발문에도 계속 영향을 주는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현재 국내 과학 발문 연구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는 Blosser (1973)의 분류 체계를 따른 연구에서는, 맥락과 전후 발문이 주는 영향은 무시된 채, 각 개별 발문을 인지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위 수준 발문의 빈도수로 수업의 질을 평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과학 교육 발문 연구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는 상위 수준 발문의 빈도수로 수업의 질을 평가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the Blosser’s (1973) ‘Question Category System for Science’, which is mainly applied to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we analyzed 30 hours of class conversation in a small group program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researcher participating as a teacher.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Blosser’s (1973) classification system, distinguishing between ‘open and closed questions’ was difficult. Questions with the same content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ir context, whereas some questions could not be classified appropriately. Additionally, higher-level questions (open questions) were not more effective than lower-level questions (closed questions) in improving students’ thinking ability or participation in class. The questionnaire’s effect differed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acher before questioning, and in many cases, previous question influenced the next questions. However, in the science education questionnaire research based on Blosser’s (1973) classification, which is mainly conducted in Korea, each individual ques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level, disregarding the influence of context and prior and subsequent questions and the quality of instructions is evaluated by the frequency of higher level questio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ethod of evaluating instruction quality based on the frequency of high-level questioning, which is currently conducted in domestic science education inquiry research, should be avoided.

목차
서 론
발문의 인지적 분류에 관한 연구 및Blosser (1973)의 분류
    1. 발문의 인지적 분류에 관한 연구
    2. Blosser (1973)의 분류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교육 프로그램 구성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연구 결과
    1. 학생들의 인지 수준을 알고 수업을 계획하는과정
    2. 실험 설계 과정으로 유도하는 과정
    3. 실험 과정에서의 관찰 및 측정에 관한 과정
    4. 측정 실험 후 결과 분석 및 토론의 과정
    5.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추리하는 과정
    6. 토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정희경(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Heekyung Chu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신동희(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Donghee Sh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