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유운반선용 Ring Stator 설계 및 성능 연구 KCI 등재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Ring Stator for Crude Oil Carri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3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문제로 국제해사기구인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관련된 지수인 EEDI(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를 만들어 새로 건조되는 선박들에 대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58k 원유운반선의 선형과 프로펠러 후류를 분석하여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저감 장치인 ring stator를 제안하였다. 최근의 선박들은 반류가 적은 즉 선미부 유속이 빠른 경향으로 발전되고 있어 덕트가 포함된 ESD(Energy Saving Device)는 저속비대선이라도 컨테이너선처럼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ring stator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이 개발된 장치로써 자항 성능 향상 뿐 아니라 저항 성능의 최소화를 목표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Star-CCM+의 상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CFD 해석을 통해 설계한 ring stator의 성능을 확인하였고 최종 제시한 설계안에 대해 약 3.4 %의 추진 효율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계된 ring stator에 대한 실험과의 비교 등을 통해 성능 검증 및 보다 정도 높은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추후 수행할 계획이다.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has developed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an index related to carbon dioxide emissions, to enforce regulations on newly built ships. In this study, a new type of energy-saving device called the ring stator was used for 158k crude oil carriers, whose hull form was developed as a very thin after-body hull to reduce the resistance by delaying separation. The Energy-Saving Device (ESD) particularly involving the duct, is not adapted to the thin-after body hull form-like container ship. This new ring stator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alysis using the Star-CCM+ program, and approximately 3.4 % improvement in propulsion efficiency was achieved. Further optimization investigations and experiment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수치 해석 기법
    2.1 포텐셜 해석
    2.2 CFD 해석
3. 대상선 분석 및 계산 검증
    3.1 대상선 및 프로펠러
    3.2 계산 검증 및 대상선 반류 분석
4. Ring stator 설계
    4.1 표준 case
    4.2 Case study
    4.3 수치해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강진구(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Jin Gu Kang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 Oce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변태영(동의과학대학교 기계계열) | Tae Young Byun (Divison of Mechanical Engineering, Dong-Eui Institute of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 김문찬(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Moon Chan Kim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 Oce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