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spects of 'Learning Terms' in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s - Focusing on Textbooks Written under 2015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 용어’ 관련 교육 내용과 방법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학습 용어 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언한 것이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 17종에서 학습 용어의 구성 방식, 과목과 용어의 제시 방법 등을 정리하였다. 17종 가운데 5종에서는 학습 용어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으며, 소단원의 본문 학습으로 구성한 것은 2종에 불과하였다. 학습 용어의 수록 현황을 정리해 본 결과, 16개 과목의 480여개 학습 용어를 수록하고 있었는데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없는 과목과 학습 용어를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과목과 학습 용어의 선정, 단원 구성과 교육 방법 등의 측면에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제를 고려하여, 국어‧사회‧역사‧도덕‧수학‧과학 등 6개 과목으로 한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6개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내용 요소, 학습 요소’에 나오는 용어와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과별 학습 어휘 목록’을 토대로 ‘학습 용어 목록’의 작성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적어도 1개 소단원 이상에서 본문 학습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어휘 교육의 기본이 되는 ‘단어의 짜임’을 함께 학습하고 ‘나만의 학습 용어 노트 만들기’와 같은 학생 중심 학습 활동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고가 차후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정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를 집필할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aspects of the 'learning term' in the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 and proposed measures for effective learning term education. First, I organized the composition of learning terms, the presentation of subjects and terms, the meaning solving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etc. Five of the 17 species did not have separate learning terms, and only one was composed of small-unit body learning. Next, I organized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terms with subject name. It contained more than 480 learning terms in a total of 16 subjects, and sometimes included subjects and learning terms that were not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I suggested improvements in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learning terms, the composition of units, and the method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mpilation of middle school curriculum, I proposed to limit myself to six subjects: Korean, Social, Historical, Moral, Mathematics, and Science. And I proposed a list of learning terms based on the terms in the 'core concepts, content elements, and learning elements' of these six curriculum and the 'List of learning vocabulary by subjec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 emphasized that learning terms should be organized into more than one unit of text, and the structure of words should be trained together. I hope this paper will help in revising the curriculum and writing new textbook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