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D TRAK 조영증강 기법을 활용한 혈관조영 검사의 유용성 평가
뇌혈관 검사 중 경동맥 혈관을 묘사하기 위한 MRA 검사방법으로 비조영 3D TOF 기법과 CE MRA 기법이 있다. 최근에 CE MRA 기법에 키홀기법을 결합하여 만든 4D TRAK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CE MRA 기법과 4D TRAK 기법을 비교하여 뇌혈관의 진단적 정보와 검사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응급실 내원 환자 중 Brain Neck CE MRA 처방을 받은 환자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CE Neck MRA를 CE MRA 기법, 4D TRAK 기법을 적용하여 검사하였다. 조영제 주입 후 각각의 기법으로 획득한 영상에 동일한 관심 영역을 설정한 다음, 측정값을 통해 대조도 잡음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4D TRAK과 기존의 CE MRA의 대조도 잡음 비에 따른 통계적 분석 결과 4D TRAK이 기존의 CE MRA보다 CCA에서는 4.38, ICA는 4.24, 그리고 VA에서는 2.94의 신호강도 차이를 보였으며,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연구 결과를 통해 CE Neck MRA 검사 시 4D TRAK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CE MRA와 비교 분석하였을 때, 혈관의 해부학 정보 및 동적 영상을 통한 혈류역학 정보가 더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를 지속 발전시킨다면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검사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The non-enhanced 3D TOF and the contrast enhancement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technique are MRA examination methods used to define the carotid in cerebral vascular examination. Recently, the 4D time-resolved angiography using keyhole(TRAK) technique, which is the combination of the contrast enhancement MRA technique and the keyhole technique, has been used. This study is intended to evaluate its efficacy on the cerebrovascular diagnostic examination by comparing 4D TRAK with the existing contrast enhancement MRA technique. CE Neck MRA was used on 30 patients (15 males and 15 females) who were prescribed a Brain Neck CE MRA after receiving contrast enhancement MRA and 4D TRAK when they entered the emergency room. The same concern sectors were established on the images acquired using each technique after the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The contrast to noise ratio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estimated values. According to the results, 4D TRAK showed stronger signal strength than the existing contrast enhancement MRA by 4.38 in CCA, 4.24 in ICA, and 2.94 in VA. The results of the matching sample T-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hen 4D TRAK and the existing contrast enhancement MRA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CE Neck MRA examination, 4D TRAK was seen as being more useful at displaying anatomical information about blood vessels and hemodynamics information. These results point towards it being a very useful method for clinical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