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물 정화를 위한 표면패턴화된 내오염성 분리막에 대한 총설 KCI 등재

Review on Antifouling Membranes with Surface-Patterning for Water Purification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전 세계적으로 물 위기인 상황에서 깨끗한 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수를 위한 멤브레인 분리 기술은 중요하다. 멤브레인의 오염 때문에 멤브레인의 분리 효과는 방해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여러 방법으로 평막에 패턴을 제공하는 연구와 실험이 수행되었다. 멤브레인의 패턴화는 오염을 줄일 뿐 아니라 방법과 재료에 따라 물투과 유속을 증가시켰다. 각각의 적용된 사례에서 증가된 표면적, 높은 물 투과도, 그리고 향상된 여과 사이클 등과 같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총설에서는 오염방지에 대한 패턴화 멤브레인의 효과를 소개하고 논의한다.

As clean water continues to be a demand in this global water crisis, development of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for water purification becomes a necessity. The effectiveness of separation membranes is hindered in the water crisis due to fouling of membranes. To address this problem, the application of patterns on flat membranes via various methods have been recently studied and experimented. Patterned membranes have shown to not only reduce the fouling effects of membranes, but also increase the fluxes depending on the method and materials used. Each application has shown benefits that include, but not limited to, enhanced surface area, higher pure-water permeability, and increased number of filtration cycles. In this review, the effects of patterned membranes against antifouling is summarized and discussed.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Patterned membrane
    2.1. 3D printed membrane
    2.2. Micro patterned membrane
3. Conclusions
Reference
저자
  • 헤인 탯 엉(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 | Hein Htet Aung (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ESE),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ISED),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라즈쿠마 파텔(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 | Rajkumar Patel (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ESE),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ISED),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김종학(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Jong Hak Kim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